2015년 구글이 국내 모바일 게임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구글은 지스타 2014 둘째 날 컨퍼런스를 열고 구글 플레이에 대한
향후 비전을 밝히는 ‘구글 플레이 비전 2015’를 공개했다. 이날 설명은 민경환 구글 플레이 한국 총괄이 담당했다.
민 총괄은 구글의 계획을 ‘숙제들’이라 표현했다. 향후 구글 플레이의 방향을 더 넓고 깊게 다가가고자 하기 위해 고민한 흔적이라며, 앞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고 그 의사를 게임 개발사들에게 숙제를 맞게 했는지 묻고자 함이라고 밝혔다.
먼저 민 총괄은 경험 기회가 점점 넓어지는 환경에 맞춰 게임을 효율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더 많은 기기에 대응시키겠다고
말했다.
현재 우리의 삶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TV, 시계 등 다양한 IT기기로 모바일, 비디오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됐다. 구글 역시 ‘넥서스 TV’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있는 영화, 게임 등의 모바일
콘텐츠를 TV화면으로 옮겨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민 총괄은 “구글이 다양한 기기를 통해 경험을 제공하는 만큼 관련 시도는 계속될 것이다. 디바이스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도 출시해 점점 접근성을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4/11/22/20141122134637_8254.jpg)
다음으로 효율적인 개발과 서비스를 위해 콘텐츠의 가능성에 확신을 주겠다고 말했다. 과거 많은 게임사들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면 다양한 디바이스를 고려해 약 1,000개
이상의 빌드를 만들어야 했다. 하지만 구글은 구글 플레이 규격만 완료되면 모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편리함을 갖고 있다. 190여개 국가에 진출해 있다는 것도 장점 중 하나다.
민 총괄은 “구글은 개발자들이 ‘원 빌드’만 개발해도 수월하게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환경을 확고히 해나가겠다. ‘행복하고 부유한 개발자’가 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좋은 앱을 만들기 위한 효과적인 가이드라인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픈 플랫폼이다 보니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좋은 앱을 보다 효율적으로 소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에 맞게 게임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얘기다. 구글은 향후 모바일 이외에도 태블릿, TV,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연동 기기들에 대한 세부 정보를 계속해서 전달할 예정이다.
민 총괄은 향후 TV 외에도 지하철 역, 버스 등 주요 지역에 대대적인 광고를 진행해 게임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4/11/22/20141122134825_5576.jpg)
구글 플레이 게임 서비스도 개선된다. 민 총괄은 구글 플레이 게임이 지난 6개월 동안 1억 명의 이용자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구글에서는 향후 개발사에게 이러한 이용자의 국가, 접속 경로 및 사용 패턴 등 효율적으로 분석해 이용자 관리 및 추가 모객에 대한 솔루션을 공유할 예정이다. 사업팀 차원에서도 구글 플레이를 통한 인게임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후원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플레이 브랜딩과 연관돼 게임 노출을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민 총괄은 “게임을 광고할 때 구글 플레이 배지를 노출시키면 어느 정도의 신뢰도도 얻게 되고 내려 받는 회수도 증가하더라. 최근 진행한 TV 광고에서도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4/11/22/20141122134916_1994.jpg)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4/11/22/20141122134945_6201.jpg)
마지막으로 글로벌 서비스 지원 강화에 대한 계획도 언급했다. 과거 회사는 <서너머스 워> 건과 관련해 컴투스와 협업해 홍콩 편의점에 구글플레이 기프트카드를 출시했고 여기에 게임도 동시 노출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구글은 이와 같은 사례를 늘려나감과 동시에 해외 서비스시 컨설팅, 마케팅 지원기술, 전 세계 적용된 인프라 기술 등 노하우를 적극 공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