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스파 홈피 구경.
위는 케스파 홈페이지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1. 관리는 하는거냐??
홈페이지의 상당 부분에서 2007년 이후 업데이트가 없습니다.
심지어는 WGC가 2008년 독일서 열릴 "예정" 이랍니다.
기타 다른 국제대회도 2007년 이후는 업뎃이 하나도 안되어 있습니다.
심지어는 스타리그 마저도 표지만 09-10이지,
연혁을 들어가보면 2008년 2월까지의 "최신자료"가 업뎃이 되어 있습니다.
제 2의 프로게이머 수를 자랑하는 스페셜 포스도 2009년 대회가 "예정"이랍니다.
여러분은 지금 대한민국의 e-스포츠를 주도하고 있는 법인의 홈페이지를 보고 계십니다.
아... 스타리그 관련사항은 꼬박꼬박 업뎃되고 있습니다.
스타 관련 내용을 빼곤 업뎃되는게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게임 리그 일정이요? 서든 일정도 눈씻고 봐도 안보이네요... 스타리그 일정만 보입니다.
2. 공인종목 등록 관련
블리자드사와 스타 2로 협상을 벌인다면 당연히 스타2를 공인종목으로 만들겠다는 거겠죠?
협회 규칙입니다.
등록위원회
※ 등록위원회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승인 하에 시행중인 ‘프로게이머 등록제도’ 사업에 근거하여 프로게이머, 공인종목ㆍ공인대회 등 관련 규정의 제ㆍ개정과 등록, 심사 등의 중요한 사항을 심의하기위해 협회 임원과 학계, 언론계, 방송사, 유관단체 및 사회단체의 인사 등으로 구성된 심의기구.
게임사는?
더 자세히 들어가보겠습니다.
1. 목 적 : e스포츠 다양화와 저변확대를 위한 신규 공인종목 심사2. 심사기구 : 등록위원회
※ 등록위원회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승인 하에 시행중인 ‘프로게이머 등록제도’ 사업에 근거하여 프로게이머, 공인종목ㆍ공인대회 등 관련 규정의 제ㆍ개정과 등록, 심사 등의 중요한 사항을 심의하기위해 협회 임원과 학계, 언론계, 방송사, 유관단체 및 사회단체의 인사 등으로 구성된 심의기구.
3. 심사기간 : 연 2회 실시 (보통 4월, 10월)
4. 심사방법 : 제출된 서류 및 게임을 검토하여 등록위원회에서 심사
5. 신청대상 : 국내에서 오픈베타 또는 정식 서비스 중인 게임
6. 심사비용 : 종목당 200만원 (서류 접수 후 심사 전까지 납부)
7. 접수방법 : 접수 신청 공문 및 제출서류를 작성하여 우편 또는 방문접수 (이메일로 동일 서류 제출)
8. 보내실곳
- 주 소 :
- 이메일 : [email protected]
9. 문의전화 : 02-737-3790 경기국
응? 신청해야 하는거네? 그럼 국내 기업은 신청해서 200만원씩 돈받고 공식게임 만들어주고, 스타2는 저런거 없이 바로 공식게임 되는건가? 우와!!! 스타2에 엄청난 특혜를 주고 있잖아?
근데 스타 1은 심의라도 받은건가?
3. 그럼 얼마나 충실한지도 살펴보자
헐... 협회 약관이 없어.....
딱하나 있네.
제 3 조 (설립목적) 본회는 e-Sports 활성화와 이를 통한 건전한 게임문화를 조성하고 회원의 권익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머지는 어디 있어?
경기규정이 명문화되어서 문서상으로 마련된 게임은?
23개중 5개.2009년 이후 등록된 게임은 3개인데 나머지는 2년이 넘도록 규칙이 없단 말이야?
단 한명이라도 "프로"게이머가 등록된 게임은 13개... 그럼 프로인데 규칙 없이 프로선수를 한단 말인가.....
나머지는 여러분도 찾아보시길.....
-
에러 BEST 11.12.19 10:39 삭제 공감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