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기획/특집

LCK 유망주에 대한 소고(小考),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1-

자리잡은 유망주 육성 시스템, 하지만 갈 길이 남았다

에 유통된 기사입니다.
김승주(사랑해요4) 2023-09-04 18:22:07
최근 LCK에서 이전보다 신인들의 얼굴을 보기 쉬워졌다. 

아카데미 시스템과 LCK CL의 덕택이 크다. 유망주 선수들은 아카데미 시스템에서 프로 선수로써 재능을 인정받으면 LCK CL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과정을 거친다. 1군이라는 높은 벽에 바로 부딪힐 필요 없이 착실히 커리어 및 실력을 쌓을 수 있게 되었으며, 팀 입장에서는 유망주 선수를 오래 보유할 수 있게 되면서 선수의 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카데미 시리즈와 LCK CL이 LCK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면서 신인 선수들이 LCK에 빠르게 적응하는 데 분명 도움이 되고 있다. 올 시즌 LCK CL에서 콜업된 페이즈, 지우, 그리즐리 같은 선수가 남은 시즌 내내 주전 자리를 유지하였으며, 이 중에는 아카데미에서 콜업된 파덕도 있었다. 

이번 시즌은 팀의 유소년 육성 시스템으로 육성한 유망주 선수들이 1군 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기념비적인 연도다. 하지만, 걱정되는 지점도 분명 존재한다. /서준호 필자(index), 편집= 디스이즈게임 김승주 기자 

- 본 기사는 외부 필진의 글을 게재한 것으로, 디스이즈게임의 논조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LCK)

# 유망주 ‘육성’에 집중하는 구단들

과거나 지금이나 <롤>은 피지컬이 중요하다. 유망주에게도 마찬가지다. 피지컬이 뛰어난 유망주의 가치는 지금도 매우 높다. 솔로 랭크 티어는 선수의 피지컬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지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솔로 랭크가 상향 평준화되면서 중학생 챌린저 같은 유망주들은 유니콘 같은 존재가 됐다. 현재 프로 육성팀은 이러한 유니콘을 찾아 헤매기보단, 어느 정도 피지컬을 갖춘 어린 선수를 데려와서 육성을 통해 좋은 선수로 만드는 걸 목표로 하는 걸로 보인다. 

프로 육성팀의 모집 요강을 보면 티어는 비교적 낮아도 나이가 어린 선수들을 선호한다. 티어가 높은 선수보다는 티어가 낮더라도 재능이 있다면 육성을 통해 한 명의 프로 선수로 키워낼 수 있다는 자신감과 같다.

2년 전에는 마스터 티어였으나, 최근 1년 동안 급격히 티어를 높이며 8월 28일 기준 챌린저 1위까지 올랐던 농심 레드포스 CL의 칼릭스(2007년생)가 대표적인 예시다. 과거에는 중학생 챌린저를 연습생으로 데려왔다면 지금은 중학생 마스터를 1~2년 뒤 챌린저 1위로 만드는 구조다.

지난 2월 올라온 디플러스 기아의 3군 선수 모집 공고 (출처: 디플러스 기아)


# 프로 팀의 육성 방향성

3군부터 육성한 선수를 1군에 쓰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팀이 이런 목표를 가지진 않는다. 현실적으로 최상위 성적을 노리는 팀 입장에선 A~S급 선수가 필요한데, 5명 모두가 A~S급 선수로 성장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오히려 적은 비용으로 A~S급 선수 1~2명을 오랜 기간 사용하기 위한 기회라고 봐야 한다. 대표적으로 이번 시즌 페이즈는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젠지가 바텀 라인에 다른 상위권 팀보다 적은 돈을 쓰고도 LCK를 연속 우승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됐다. 

또한, 점차 유망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유망주 자체가 팀에 자산이 되거나 좋은 이미지를 가져다주기도 한다. 1군에서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에 대한 보험이 되어주거나, 좋은 유망주를 1군에 쓰지 않더라도 판매를 통해 금전적 이득을 봄으로써 팀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분명한 목표는 적은 돈으로 1군 자원을 만들어내는 것이며, 최근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단 점이다.

유망주 성공 신화의 대표적 사례가 된 '페이즈' 김수환 (출처: LCK)


# 유망주를 통한 팀 브랜드 가치 상승

이전까지는 팀이 유망주 선수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컸지만, 반대로 최근에는 유망주 선수들이 LCK팀의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 현재도 몇몇 명문 팀 유망주 선수들은 해외 팀 오퍼를 훨씬 쉽게 받는 경향이 있다고 전해진다. 버서커, 퀴드와 같이 명문팀 출신 상위 유망주들은 LCK에서 뛴 경험이 없음에도 해외 4대 리그 1군 팀에서 오퍼가 들어온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러한 사실이 유망주들이 팀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은 굉장히 클 수밖에 없다. 유망주 선수들의 나이와 한국 문화 특성 상 유망주 계약 과정에서 부모님의 영향이 매우 큰데, 부모님들의 입장에서는 취업률을 가장 중요하게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CL에서 뛰더라도 동 나이대 대비 매우 높은 연봉을 받긴 하지만, 결국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해외 진출을 생각해볼 수밖에 없다. 이 때 명문 팀 경력은 이런 유망주 선수들에게 어필 수단이 된다. 팀의 유망주가 얼마나의 가치로 인식되고 있느냐는 것은, 팀의 브랜드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다.

그리고 LCK 팀들이 고민하는 고질적인 문제는 팀의 브랜드 가치가 실질적으로는 선수들의 브랜드 가치에 가까워 지속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현 유망주 시스템은 소위 스포츠 '팀'팬들이 선호하는 ‘성골 유망주’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팬에게 팀의 미래를 보여주고, 이런 미래에 대한 관심을 갖게 만든다. 또한, 유망주 시절부터 키워 온 선수의 정체성에 팀을 포함시킴으로서 선수 팬과 구단 팬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긴급 콜업됐음에도정규 시즌에서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여줌과 동시에 
'체급생명'의 이미지에 기여한 '그리즐리' 조승훈 (우측) 
(출처: LCK)

'육성' 자체가 많은 관심을 받는 경우도 생겼다. 이번 시즌 광동 프릭스와 농심 레드포스는 성적이 좋지 않았음에도 육성 선수들의 밈을 통해서 커뮤니티에서 상당히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었다. 

국내에서 유망주 선수들의 존재감도 커졌다. 지우와 그리즐리는 이번 시즌 LCK 무대에 올라 빠르게 별명을 얻는 등 존재감을 어필했으며, T1의 2군 정글러 포레스트는 CL에서만 활약한 선수임에도 '숲퍼스타', '숲신'라는 별명을 얻는 등 커뮤니티의 CL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였다. LCK는 커뮤니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커뮤니티에서 나타난 유망주들에 대한 관심은 분명 긍정적인 신호다.

인상적인 경기력과 '흙수저' 밈으로 단번에 이름을 알린 농심의 '지우' 정지우 (출처: LCK)


# ‘대체 할 수 있는 선수’들에 대한 수요가 유망주에 대한 수요로 대체될 가능성

야구에서는 WAR(승리 기여도)가 0인 선수를 '대체 할 수 있는 선수'라고 말한다. 선수풀이 풍부한 MLB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선수는 언제든 다른 선수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다. 기존까지 LCK는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이상 1년 동안 주전 5명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시즌에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선수 대신 유망주를 기용하는 모습이 보였다. 농심 레드포스와 같이 1군 전체를 준비해 둔 5인의 유망주로 구성한 팀도 있었다. 유망주 육성 시스템이 발전하며 충분한 기량을 갖췄다면 과감하게 기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 것으로 풀이된다.

무조건 '기존 선수들을 유망주 선수들이 밀어낼 것'이라고 보는 것은 아니다. 1군 선수들을 대신해서 기용되는 유망주 선수들은 곧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이번 시즌에도 다시 기존 선수들에게 자리를 내준 유망주가 있었다. 유망주들에게 기존보다는 많은 기회가 주어질 가능성이 높아졌을 뿐이지, 유망주 선수가 그 기회를 잡는 것은 1군에서의 퍼포먼스에 달려 있다.

(출처: LCK)


# 장미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야

다만,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여전히 있다.

첫 번째는 여전히 유망주 선수들의 명문팀 선호도가 높다는 점을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농심 레드포스 CL팀의 성공에서 신흥 팀들의 가능성을 분명 보였지만, 여전히 A~S급 유망주들은 명문 팀에 쏠리는 것으로 보인다. 조금 더 자세한 취재가 필요하지만,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분명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다.

두 번째는 <롤>은 5개의 포지션이 전부 있어야 할 수 있는 게임이지만 포지션별 유저 수의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유망주도 마찬가지로 포지션 선호도의 차이가 있다. 정글과 서포터다. 특히 서포터의 선호도가 낮다. 이 때문에 프로 팀도 서포터의 경우는 지원 조건이 다른 포지션에 비해 훨씬 널널한 편이다. 

세 번째는 유망주 선수의 이적 문제다. 축구의 경우는 임대 제도를 통해서 유망주 선수가 더 높은 수준의 리그에서 뛸 수 있도록 해주며, 계약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 유망주 선수가 자율적으로 다른 팀과 계약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다른 팀에 판매하거나 팀의 주전으로 활약할 기회를 빠르게 부여하는 편이다. 하지만 LCK는 임대 제도가 없고, 사전 접촉이 원칙적으로 허용되어 있지 않다. 

유망주 선수 입장에서는 LCK CL에서 뛰어난 활약을 하더라도 상위 리그를 경험하기 어려워 성장이 지체되거나 커리어적으로 손해를 보게 된다. 팀 입장에서도 유망주 선수를 임대 보내 금전 이득을 보면서 유망주 선수의 성장을 돕거나, 팀 운영을 유연하게 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비록 이전의 악용 사례로 인해서 생긴 규제이긴 하지만 미래를 위해서 안전장치 하에 개선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2022년, 농심의 바이탈은 '바이백' 조항 포함한 이적을 통해
일본 리그로 사실상의 임대를 다녀오기도 했다. (출처: 농심 레드포스)

마지막은 <롤>에 대한 서구권 팀의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육성 시스템이 자리 잡으면서 현재 어느 때보다 많은 유망주가 배출되고 있다. 중국 유망주들 수준도 많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LCK 1군에 오르지 못한 한국인 유망주들이 취업하게 될 곳은 LCK나 LPL이 아닌 해외팀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서구권 팀의 <롤>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한국인 용병에 대한 수요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최근 서구권 팀에 진출한 한국인 용병 선수들의 경기력이 좋지 않은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 계속
최신목록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