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게임쇼 '2023 게임스컴'에서 '신흥 한국 게임 개발사'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퍼블리셔 및 바이어, 해외 미디어가 출입할 수 있는 2023 게임스컴의 '비지니스 구역'에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원을 통해 한국의 중, 소규모 개발사가 해외 비즈니스 관계자 및 바이어게 게임을 선보이는 한국공동관(Korea Pavilion)이 찾아왔다.
한국공동관에는 ▲컴투스로카 ▲오드원게임즈 ▲리얼리티매직 ▲챌린저스게임스 ▲에그타르트 ▲무모스튜디오 ▲뉴코어 ▲외계인납치작전 ▲소울게임즈 ▲스카이워크 ▲엔유소프트 ▲블렌즈 ▲픽셀리티 ▲스토익엔터테인먼트 등이 참여해 해외 관계자 및 퍼블리셔 등을 상대로 게임을 선보이고 미팅을 진행하는 모습이 보였다.
![](//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08/25/20230825064626_2228w.jpg)
한국공동관의 모습
공동관에 참여한 업체들은 해외 바이어 및 퍼블리셔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게임을 퍼블리싱할 알맞은 기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분주했다. 주로 중소규모 스튜디오 및 다양한 인디 게임이 한국공동관에 참여한 만큼, 글로벌 게이머들에게 게임을 선보이는 데 능통한 해외 퍼블리셔를 찾는 모양새였다.
한국공동관 참가 업체들과 이야기를 나눈 결과, <메탈 수츠>를 시연한 박진만 에그타르트 대표와 <삿갓: 더 데블 위딘>을 준비해 온 뉴코어의 이만재 대표는 인디 게임을 시연하는 관에도 별도로 시연대를 배치했다. 두 대표는 해당 시연대에서 게임을 참가한 관계자가 부스로 찾아오는 등 자체적으로 B2C(비지니스 투 커스터머)를 준비한 것이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신작 및 개발 중인 게임을 선보인 개발사도 있었다. 마피아 게임 <두비움>을 스팀에 론칭했던 무모스튜디오는 <타르코프>로 잘 알려진 '익스트랙션 슈터' 장르의 신작을 준비 중이다. 두비움의 캐릭터를 활용해 보다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이 준비 중이며, 빠르게 개발해 이용자 피드백을 받고자 내년 초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08/25/20230825064632_1803w.jpg)
<두비움> 캐릭터를 활용한 신작 게임을 준비 중인 무모스튜디오
![](//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08/25/20230825064505_7131w.jpg)
챌린저스 게임즈 부스에 방문해 기념 사진을 촬영한 관계자
게임스컴에서는 종종 관계자가 코스프레를 하고 돌아다니는 경우가 있다.
한국공동관을 통해 1인 개발자가 현장에 참여한 모습도 눈에 띄었다. VR 기기를 사용하는 유저와 PC 및 모바일 플랫폼을 사용하는 유저가 모여 즐기는 게임 <옥토레이드 VR>를 개발하고 있는 블랜즈 김석현 대표는 "국내 행사는 몇 번 참여했지만, 유럽에 온 것은 처음이다. 해외 게이머들에게 직접 게임을 선보일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생겨 기쁘다"라고 언급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성준 게임본부장은 “단발성의 비즈니스 소개를 넘어선 장기적이고 유기적인 게임 콘텐츠의 발굴 및 수출을 이번 공동관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08/25/20230825064512_4709w.jpg)
<옥토레이드 V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