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펙스 레전드>가 일본에선 대세 게임이라구요?
배틀 로얄이나 FPS에 관심 있는 게이머라면 <에이펙스 레전드>를 당연히 들어봤을 것이다. 2019년 2월 출시 후 <배틀그라운드>와 <포트나이트>까지 위협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다. 이후 핵에 대한 미숙한 대처로 인기가 확 가라앉긴 했지만...
그런데 이 게임이 일본 대세 게임이 됐다. 2021년 3월 10일 스위치판 발매를 기념해 시부야역에 큰 광고를 걸고, TV에 CF까지 송출하는 중이다. 인플루언서 관심도 높다. ‘아이즈원’으로 유명한 ‘미와야키 사쿠라’가 <에이펙스 레전드>를 플레이했을 정도다.
시장 조사 업체 ‘Newzoo’에 따르면 <에이펙스 레전드>는 일본에서 <레인보우 식스 시즈>나 <리그 오브 레전드>를 제치고 2020년 2월 PC 게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플레이어가 늘어난 5월에는 점유율 37.4%를 차지했다. 다른 조사에서 <에이펙스 레전드> 콘솔 월간 유저 수는 2020년 7월에 146만을 기록했다.
인기가 급격히 식은 한국 시장과 완전히 다른 결과다. 대체 어떤 일이 있었길래 <에이펙스 레전드>는 일본 대세로 떠올랐을까? / 디스이즈게임 김승주 기자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3613_7168w.jpg)
배틀로얄이란 본래 프로레슬링 룰 중 하나다. 여러 명의 선수가 경기를 진행해, 마지막에 살아남는 최후의 1인이 승자가 되는 것이다.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3716_4375.jpg)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3926_9710.jpg)
<에이펙스 레전드>는 콘솔에서도 즐길 수 있다. 최적화도 깔끔하게 이루어졌으며, 무료료 플레이 가능하다. 접근성이 굉장히 높단 이야기다. 콘솔 최적화 문제로 홍역을 치렀던 <배틀그라운드>와 달랐다(배그는 결국 인기가 사그라들어 18년 6월 일본 서버를 임시 폐쇄했다.).
일본 게임 시장은 전통적으로 PC보다 콘솔게임이 강세다. 소니, 닌텐도 등 콘솔 게임 시장을 주도하는 제작사가 모여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PC 온라인게임과 모바일게임이 인기를 얻으며 변하고 있지만, 여전히 부동의 1위는 콘솔이다. 그렇기에 고사양 PC보다 콘솔 보급률이 높다.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4320_7528.jpg)
여기에 ‘크로스 플레이’를 추가하면 금상첨화다. 2020년 10월 16일 업데이트를 통해 <에이펙스 레전드>에는 크로스 플레이 기능이 추가됐다. 이를 통해 PC, 엑스박스, 플레이스테이션 유저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됐다. 심지어 PC에서도 오리진, 스팀 등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에이펙스 레전드>를 즐길 수 있다.
<에이펙스 레전드>는 기본적으로 3명이 모여 즐기는 게임이다. 필요한 인원수가 적어 모이기 쉽다. 크로스 플레이 덕분에 한 명은 컴퓨터만 있고, 나머지는 콘솔만 있더라도 같이 게임을 즐기는 데 불편함이 없다. 콘솔이나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건 특히 일본에서 굉장한 강점이다.
2021년 3월 10일에는 <에이펙스 레전드>의 스위치 버전이 발매돼 접근성을 더욱 높였다. 대규모 마케팅을 펼치는 등 홍보에도 매우 적극적이다. 비슷한 배틀로얄 게임 <포트나이트>가 스위치 버전을 발매해 저연령층에게 좋은 반응을 얻은 선례를 생각해 보면 꽤 스마트한 한 수를 둔 셈이다.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5852_4169w.jpg)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10026_9757w.jpg)
Q. <에이펙스 레전드>는 핵이랑 느린 업데이트 때문에 망한 것 아니었나요?핵 문제를 인지한 개발사 ‘리스폰 엔터테인먼트’는 시즌 6부터 담당자가 SNS를 통해 직접 신고를 받고 핵 사용 유저를 제재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런 대책이 도입된 이후 핵 유저가 크게 줄었다는 평가다.이탈한 유저를 되돌리기 위해 콘텐츠 업데이트에도 노력했다. 시즌마다 개성있는 능력을 가진 캐릭터 한 명을 추가하고, 기존 맵을 변경하거나 신규 맵을 추가했다. ‘크리스마스’ 같은 기념일에는 특별 게임 모드를 짧은 기간동안 플레이할 수 있도록 했다.두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 시즌 6부터 <에이펙스 레전드>는 반등했다.
<에이펙스 레전드>가 일본 시장에서 <포트나이트>나 <배틀그라운드>와 차이를 만들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은 2차 창작이다. <에이펙스 레전드>는 신규 캐릭터가 등장할 때마다 매력있는 설정과 탄탄한 배경 스토리를 제공했다. 다만, 플레이어가 알 수 있는 것은 단편적인 정보뿐이다. ‘망상’할 거리가 넘친다는 이야기다. 조금 이해가 힘들다면 <다크 소울>을 생각해보면 된다.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4638_7051w.jpg)
![](https://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3/17/20210317105223_6380.jpg)
【細かすぎて伝わらないモノマネ】
— あらこー (@arakou0819) June 4, 2020
キャラ選択画面のライフライン#APEX pic.twitter.com/tvRZZGhJeZ
SNS를 통한 열풍은 인플루언서에게도 흘러들어가 ‘CR(Crazy Racoon)컵’ 등 다양한 대회를 통해 시청자를 끌어모았다. CR컵은 아마추어 고수들이 실력을 뽐내기보다 인플루언서가 대회를 위해 연습하며 성장하는 과정을 조명해 큰 화제가 됐다. 이는 게임 홍보에 큰 도움이 되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곧 기사로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