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뉴스센터

던전앤파이터 소환사, 하급정령 스킬을 찍어, 말아?

무명군 2015-07-20 16:51:55

던전앤파이터 소환사의 하급정령은 개편 이전에 최고의 딜량을 가지는 소환수였고, 소환사의 기본기이자 주력기였습니다. 

 

그런데, 이클립스 하이브의 개편으로 상급 소환수들의 효율이 증가하자 많은 소환사 유저들이 하급정령의 존재성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됐습니다.

 

보통 하급정령의 딜 점유율이 낮다는 이유로 안찍는 부류와 자신에게는 하급정령의 딜 점유율이 높다며 찍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왕도가 없어 투자해야 하는지, 아니면 버려야 하는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소환사 유저분들께 하급정령을 투자해야 할지, 버려야 할지 고민을 덜어드리고자 정리해봤습니다.

 

 

 

 

 

■ 하급정령의 딜량이 높게 나오는 이유

 

1. 단일 속성 투자 형태의 장비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화속성을 극으로 올려주는 레전드 아이템 도배(불꽃너울 등을 활용), 그리고 암속성의 다크고스 세트가 있습니다. 


아도르와 스토커를 마스터하는 하는 세팅이며, 이 부분은 스포도 남아 어쩔 수 없이 하급정령에 투자할 수밖에 없는 딜구조라서 나쁘다 좋다를 말하기 어렵습니다.

 

 

2. 파티 내에 안정적인 홀딩이 없다.


소울은 홀딩이 아닙니다. 선경직이 가능하지만 홀더로써의 역할보단 디버프로써의 역할이 더 크죠. 따라서 암제나 아수라같은 확실한 홀더가 없다면 하급정령의 경직은 상당히 도움이 되는 편입니다.


스토커는 경직도가 높고, 아도르는 2타라서 경직이 좋죠. 이런 어쩔 수 없는 상황을 따르는 곳은 부화장 ‘분쇄의 아톨’ 솔로딜밖에 없을 정도로 홀딩용도로 하급정령을 쓸 곳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3. 극단적으로 말해서 사용자의 스펙이 낮은편이다.


이런 경우, 하정을 버릴 수 없습니다. 하이브로 충분한 DPS가 나오지 않아 하이브 쿨타임동안 비어있는 딜량이 하정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고로 하정의 딜 점유율이 일정 이상 높게 나온다면 자신의 스펙이 낮다 라고 보는 편이 더 옳습니다. (아니면 하이브를 낭비하거나, 잘못썼거나, 못 맞췄거나, 방맥에 썼거나)

 

물론 위 1번 사항에 제외되는 경우구요. 현 소환사의 딜링 구조상 1개 속성을 극으로 타거나 프리덤이 아닌 이상 하정 딜 점유율이 높게 나오긴 힘듭니다.

이 3번의 예시를 뒷받침할 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진누골을 상대로 죽을 때까지의 딜량을 뽑아낸 딜표입니다.

 

왼쪽은 에체베리아와 데드멀커의 하이브를 쿨마다 쓴 딜표, 오른쪽은 하이브를 2회씩만 쓰고 방치한 딜표입니다. 당연히 왼쪽이 잡는시간은 훨씬 길었음.

 

간단히 하급정령의 딜 점유율이 오른것만 확인하면 될 거고, 하이브를 안쓰고 방치하여 하급정령의 딜링타임이 훨씬 길었음에도 시간 대비 딜 점유율의 상승이 별로 높지도 않습니다.

 

윗 자료가 부족할 수도 있어 한 가지 더 준비했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하이브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딜표입니다.

 

 

 

 

보시다시피, 딜 점유율은 아도르가 가장 높지만 하이브를 전혀 쓰지 않은 데드멀커와 에체베리아의 딜량이 낮지도 않아요. 하이브를 한 번이라도 쓴다면 바로 역전이 가능할 수준으로 따라 잡혀 있습니다.  

 

곧, 위에서 제시한 프리덤 오브 스피릿 세트를 활용하고 있거나, 단일속성 투자형태이거나, 하이브를 못맞췄거나의 경우를 충족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같은 스펙으로 레이드 참여시 아래와 같은 딜점유율이 나옵니다. 쉽게 말하자면 누골의 실제 딜 점유율이 레이드에서 통용되지 못할 수준이라 보면 됩니다.

 

  

 ▲ 레이드 에게느의 HP는 대략 16억

 해당 총 딜량은 14억이 조금 못미치는 정도다.

 

 

■ 결론

 

위 자료를 바탕으로 본다면, 하정의 딜 점유율이 높은 경우의 대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이브 딜이 안나와서 그 모자른 부분을 하급정령이 채워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정 딜 점유율이 높은 것입니다. 

 

실제로 홀딩이 없어도 어느 정도의 투자와 스펙, 버프등이 뒷받침된다면, 하이브만으로도 레이드가 가능해집니다. 이 때문에 하정은 속성내성 감소를 위한 재료 약간의 경직을 위한 소환수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됩니다.

 

물론, 지속 형태의 딜로 따지면 하급정령의 DPS가 점차 하이브의 DPS를 앞설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으나, 그 DPS가 완성되기 전에 샌드백이 되어줄 몬스터는 공략된 이후라는 게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그래서 저놈잡아라! 까지 상대적으로 딜 점유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낳음)

 

 

 

■ 3줄 요약

 

1. 자신의 스펙이 낮으면 하급정령을 찍어야 한다.

 

2. 파티 내 홀딩캐릭터의 여부와 상태에 따라 찍어주면 도움이 된다.

 

3. 그러나 1과 2에 포함되지 않을 때, 하급정령의 활용도(DPS)가 높다면 문제가 있다.

 

최신목록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