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저트 드래곤 네스트는 <드래곤네스트>의 최상위급 네스트로 많은 공격대가 꾸준히 공략하고 있는 네스트입니다. 아무리 좋은 장비를 갖추고 높은 능력치를 갖추고 있더라도 세부 공략과 패턴을 모른다면 실패의 쓴맛을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만큼 데저드 드래곤 네스트는 확실히 공략을 숙지하지 않으면 힘든 네스트입니다. 그래서 디스이즈게임이 여러 군데 흩어져 있는 데저드 드래곤 네스트의 공략을 모아서 정리해봤습니다.
※ 이 공략은 실시간 유저 팁에 있는 칼슘두유님과 maskhj(꼽등년)님의 공략을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2라운드 칵퉤꽃 이그니스, 협곡의 감시자 압둘라 공략 |
관련 정보: 칼슘두유 유저의 칵퉤꽃 이그니스 공략 보러 가기[클릭]
■ 칵퉤꽃 이그니스 공격 패턴
파이어볼 - 이그니스가 무작위로 대상을 선정해서 파이어볼을 발사합니다. 바닥에 떨어지면 불꽃이 생기며 점점 크기가 커집니다. 바닥 장판에 대미지를 입으면 화상 상태가 됩니다. 가드 가능 물어뜯기 - 이그니스가 어그로 대상자를 마구 물어뜯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공격을 받으면 멀리 날아갑니다. 가드가능 울부짖기 - 이그니스가 90도 각도로 고개를 움직이면서 울부짖습니다. 울부짖기에 당하면 멀리 밀려나며 기둥에 부딪칠 수도 있습니다. 춤추기 - 이그니스가 몸을 현란하게 움직이고 바닥에서 폭발이 일어납니다. 폭발은 총 세 번 일어나며 앞→뒤→앞, 뒤→앞→뒤로 무작위로 발생합니다. 발판 패턴 - 맵 전체가 용암으로 가득 찹니다. 용암에 휘말리면 즉사하게 됩니다. 구석에 있는 발판으로 올라가 몸을 피해야 합니다. 힐러들은 공격대원 중에 화상에 걸린 유저가 있는지 확인하고 빠르게 풀어주셔야 합니다. 점프 - 이그니스가 땅에서 힘차게 점프한 뒤 땅을 내려찍어 충격파로 공격합니다. 점프로 피해야 하고 1번 찍거나 3번 연속으로 찍기 때문에 여러 번 뛰어서 피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가드 가능 피자 패턴 - 이그니스가 어그로 대상자를 공격하고 대상자 뒤쪽을 제외한 전 범위에 용암이 생성됩니다. 어그로 대상자 뒤쪽으로 부채꼴 모양 안전지역으로 피하면 대미지 없이 피할 수 있습니다. 가드 가능 회오리 발사 - 이그니스가 날뛰면서 불꽃 회오리를 발사합니다. 회오리에 당하면 불타는 기둥에 부딪치면서 즉사합니다. |
■ 칵퉤꽃 이그니스 페이즈별 공략
◆ 페이즈 1(체력 100% → 75%) 페이즈 1에서는 특수한 패턴 없이 앞서 소개한 공격패턴 중 충추기 패턴까지 등장합니다. 칵퉤꽃 이그니스는 주로 중앙에서 탱킹을 하면서 공략하게 됩니다. 그리고 중앙을 중심으로 뜨거운 용암이 둘러싸고 있어서 바깥으로 밀려나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그니스 주위에 물을 뿜는 칵퀘꽃이 있는데 이 칵퉤꽃이 뿜는 물줄기에 맞으면 화상 디버프가 사라지니 화상에서 걸렸다면 물줄기를 맞는 것이 좋습니다. 춤추기 패턴 이후 이그니스가 잠시 기절상태가 되므로 그때 충분한 대미지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 페이즈 2(체력 75% → 50%) 페이즈 2에서 칵퉤꽃 이그니스의 핵심 패턴 중 하나인 발판 패턴이 등장합니다. 1분마다 등장하는 패턴으로 구석에 있는 기둥으로 올라가서 피하면 됩니다. "발판 위로 올라가 몸을 피하십시오!"라는 대사가 나오면 왼쪽 기둥으로, "뜨거운 모래가 끓어 넘칩니다!"라는 대사가 나오면 가운데로 이동하면 됩니다. 하지만 화상 상태로 올라가면 가끔 지속 대미지 때문에 점프하다가 떨어지는 일도 있으니 힐러는 큐어 등 상태이상 회복 스킬을 사용해서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설명한 칵퉤꽃을 이용해서 화상을 푸는 것도 좋습니다. ▲ 발판 패턴 피하는 순서 by. 칼슘두유 그리고 추가패턴으로 점프 패턴이 등장합니다. 이그니스가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파로 공격하는 것이므로 타이밍에 맞춰 점프만 하면 간단하게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연속 점프를 하는 때도 있으니 여러 번 뛰는 것을 추천합니다. ◆ 페이즈 3(체력 50% → 25%) 페이즈 3에서는 일명 피자 패턴이라고 불리는 공격 패턴이 등장합니다. 이그니그와 어그로 대상자를 기준으로 부채꼴 모양 안전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 용암이 생기면서 대미지를 줍니다. 어그로 대상자 뒤로 이동하면 되므로 어렵지 않은 패턴입니다. 이 패턴 이후 이그니스가 잠깐 기절하므로 이동 후 최대한 많은 대미지를 입히면 됩니다. ◆ 페이즈 4(체력 25% → 0%) 이그니스에서 가장 난감한 패턴인 회오리 패턴이 등장합니다. 이그니스가 무작위로 불꽃 회오리를 발사하고 대미지를 입으면 불타는 기둥에 부딪히며 즉사하게 됩니다. 최대한 뭉쳐서 불꽃 회오리가 사방으로 퍼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오리 패턴 뒤에도 이그니스가 기절하므로 일단 생존에 신경 쓰다가 패턴이 끝나면 대미지를 넣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협곡의 감시자 압둘라 공략
관련 정보: 칼슘두유 유저의 협곡의 감시자 압둘라 공략 보러 가기[클릭]
■ 협곡의 감시자 압둘라 공격패턴
꼬리치기 - 어그로 대상이 없거나 뒤쪽에서 공격하는 대상이 있을 때 꼬리로 공격합니다. 대미지를 입으면 중독 상대가 됩니다. 가드 가능 집게 휘두르기 - 압둘라가 집게를 휘둘러 공격합니다. 가드 불가능 독 찍기 - 압둘라가 땅을 여러번 찌르다가 마지막에 독장판을 생성하는 공격을 합니다. 장판에 닿으면 중독 상태가 되며 독 대미지를 입습니다. 가드 불가능 꼬리 폭탄 발사 - 집게를 땅에 박은 뒤 꼬리를 사용해서 포탄을 날립니다. 가까이 있는 적을 공격하기 때문에 탱커를 제외한 인원은 멀리 물러나 있으면 됩니다. 포탄이 떨어진 지역에 중독 상태를 유발하는 장판이 생깁니다. 회전 후 돌진 - 압둘라가 한 바퀴 회전하고 무작위로 돌진합니다. 한방 대미지는 약하지만, 대미지를 여러 번 입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이베이전 포이즌 - 압둘라가 손을 내리고 무작위로 대상을 골라 독을 던집니다. 바닥에 떨어지는 위치가 보이므로 간단하게 피해 주면 됩니다. 최대한 산개한 뒤 움직이면서 생존에 신경써야 합니다. 체력이 25%까지 깎이면 패턴이 변합니다. 손을 내리는 모션을 취한 뒤 압둘라가 돌면서 독을 던집니다. 무작위로 대상을 골라서 회오리 형태로 공격합니다. 빙글빙글 돌면서 이동할 때 파티원 전원에게 독을 발사합니다. 독지대 - 압둘라를 상대할 때 가장 중요한 패턴입니다. 네 개의 꽃봉오리가 나오고 독지대 생성까지 10초를 줍니다. 그 후 꽃을 하나 처치할 때마다 4초의 무적시간이 생기는데요. 1초 정도 되면 포이즌 칵티를 파괴해서 독지대의 유지시간과 무적시간을 똑같이 만들어 줘야 합니다. 땅속에서 나와 찍기 - 압둘라가 땅속으로 숨었다가 나오면서 찍기를 사용합니다. 가드 가능 맹독감옥 - 압둘라가 궁격대원을 주위로 끌어당긴 후 맹독장막으로 가로막습니다. 그 후 10초가 지나면 강력한 찍기 공격을 사용합니다. 장막에 부딪히면 중독 상태가 되고 모든 버프가 사라집니다.
■ 협곡의 감시자 압둘라 페이즈 별 공략
◆ 페이즈 1(체력 100% → 75%) 페이즈 1은 기본 패턴과 독지대 패턴의 반복으로 독지대 패턴을 안전하게 넘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포이즌 칵티를 파괴할 때 한 명이라도 무적 버프를 받지 못하면 바로 사망하므로 공격대원 전체가 집중해야 합니다. 중독상태가 되면 모든 버프가 삭제되므로 빠르게 큐어로 독을 제거해주고 버프를 충원해줘야 합니다. ◆ 페이즈 2(체력 75% → 50%) 페이즈 2에선 압둘라가 땅속에 들어갔다가 나오면서 찍기공격을 하는 패턴이 추가됩니다. 점프로 피할 수 있고 가드나 회피기술로 피할 수 있어서 그리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맞으면 대미지가 상당하므로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페이즈 3(체력 50% → 25%) 드디어 압둘라의 가장 어려운 패턴인 맹독감옥 패턴이 등장합니다. 45~55초마다 반복되는 패턴으로 무조건 당겨지므로 탈출하는 방법을 확실히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맹독장막에서 살짝 떨어져서 기다리면 잠깐 장막이 사라지는데 그 타이밍을 노려서 나와야 합니다. ※ 칼슘두유 유저의 장막 탈출 영상 ◆ 페이즈 4(체력 25% → 0%) 페이즈 4에 오면 압둘라가 광폭화하며 공격력이 올라가고 이베이전 포이즌 패턴에 변화가 생깁니다. 압둘라가 빙빙 돌면서 독을 발사하는데 무작위 대상으로 공격하므로 미리 뒤로 빠져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패턴 이후 압둘라가 기절 상태가 되므로 최대한 많은 대미지를 줘야 합니다. 생존을 우선으로 공격을 피한 후 대미지를 집중하는 것을 반복하면 됩니다. |
참룡의 신전, 충실한 숭배자 카지프 공략 |
2라운드에 있는 네 마리의 보스를 처치하면 입장할 수 있는 참룡의 신전에 있는 보스로 10분 안에 처치하지 못하면 광폭화 때문에 공략이 불가능해지는 보스입니다. 게다가 저주 다음 생기는 디버프 때문에 힐과 방어기 관련 스킬이 무용지물이 되므로 까다롭습니다.
그리고 몇몇 기술을 제외하고 어그로 대상의 개념이 없이 무작위로 공격하므로 개개인의 생존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미지를 입힐 때 체력에 비례한 % 대미지를 줍니다.
관련 정보: 칼슘두유 유저의 충실한 숭배자 카지프 공략 보러 가기[클릭]
■ 충실한 숭배자 카지프 공격 패턴
주먹 공격 - 카지프가 어그로 대상자를 주먹으로 공격합니다. 타격 범위가 넓어서 점프해도 대미지를 입습니다. 레이져 공격 - 카지프가 바닥을 향해 레이져를 발사하고 2초 후 그자리에서 폭발이 일어납니다. 레이저의 위치를 잘 보고 바로 피해야 합니다. 회오리 - 카지프가 양손을 부딪치면서 마법진을 생성합니다. 2초 후 마법진에서 회오리가 발생합니다. 범위가 꽤 넓고 대미지도 강력하니 마법진에서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저주 - 카지프가 양손을 모으고 고개를 흔들면 "카지프가 저주를 내립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주위에 노란색으로 범위가 표시됩니다. 각자 산개해서 최대한 공격대원끼리 노란색이 안 겹치도록 움직여야 합니다. 잘못 움직여서 겹치게 된다면 겹친 유저끼리 기본 대미지에 다른 사람의 대미지 중 50% 대미지를 받게 됩니다. 네 개의 봉안석 - 이그니스, 하잘, 주우, 압둘라 모양 봉안석이 등장합니다. 각 봉안석에는 파괴될때 발동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로 이그니스, 하잘, 주우, 압둘라나 이그니스, 주우, 하잘, 압둘라 순으로 파괴합니다. 봉안석을 파괴하면 체력을 15% 회복시켜주는 회복의 파편이 등장합니다.
손바닥 메테오 - 카지프가 손을 바닥에 내려놓고 마법진을 생성합니다. 3~4초가 지나면 마법진 위에 손바닥이 떨어지면서 대미지를 줍니다. 맵 구석으로 가면 피할 수 있으니 카지프가 손을 바닥에 놓는 순간 구석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삼단 찍기 - 카지프가 양손을 들어 세 번 바닥을 내리쳐 충격파를 발사합니다. 점프로 피할 수 있으며 모두 많으면 총 체력의 30% 정도의 대미지를 줍니다. |
■ 충실한 숭배자 카지프 페이즈 별 공략
◆ 페이즈 1(체력 100% → 75%) 페이즈 1에서는 저주와 봉안석 패턴만 기억하면 됩니다. 주먹 찍기, 회오리, 레이저 같은 패턴은 피할 수 있지만, 저주와 봉안석 패턴은 집중하지 않으면 실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봉안석을 마구잡이로 파괴한다거나 저주 범위가 겹치면서 대미지를 같이 입게 되면 힐이나 방어 스킬의 효율이 떨어지는 카지프를 공략하기 어려워집니다.
◆ 페이즈 2(체력 75% → 50%) 손바닥 메테오와 3단 찍기 패턴이 추가로 등장합니다. 페이즈 2에서는 손바닥 메테오가 두 개 떨어집니다. 피할 수 있는 공간도 많고 3~4초에 시간도 주므로 쉽게 피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3단 찍기 패턴을 완벽히 피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점프로 피할 수 있지만, 한 번 점프에 실패하면 타이밍을 잡기 어렵습니다. 메모리아로 연습하거나 실전에서 경험해보면서 스스로 타이밍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메테오의 범위와 피할 수 있는 공간 by. 칼슘두유
◆ 페이즈 3(체력 50% → 0%) 체력이 50% 이하로 내려가면 카지프가 광폭화 됩니다. 공격력이 상승하고 손바닥 메테오가 2개에서 3개가 됩니다. 추가 패턴이나 다른 특이사항은 없지만, 시간이 10분 이상 흐르면 카지프가 광폭화를 한 번 더하고 공격속도와 공격력이 대폭 상승해서 공략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
데저트 드래곤 네스트의 주인, 데저트 드래곤 자카드 |
드디어 사드 네스트의 진정한 주인 자카드를 만나 볼 차례입니다. 네스트의 보스인 만큼 자카드 공략은 쉽지 않습니다. 각종 전멸패턴, 공격패턴, 특수패턴 등 유저를 괴롭히는 패턴을 여러 가지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페이즈가 지날 때마다 추가 패턴이 등장하고 만티코어, 전갈 등 몬스터도 등장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보스입니다. 게다가 체력도 많아서 오랜 시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하는 것도 공략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됩니다.
관련 정보: maskhj 유저의 데저트 드래곤 자카드 공략 보러 가기[클릭]
■ 데저트 드래곤 자카드 공격 패턴
후리기 & 찍기 - 자카드가 머리를 사용해서 찍고 고개를 돌리며 유저를 공격합니다. 대미지는 강력한 편이지만, 가드가 가능합니다. 점프 찍기 - 자카드가 날아오른 뒤 낙하해 충격파를 만들어 냅니다. 떨어지는 곳에서 피한 뒤 날라오는 충격파를 점프로 피해야 합니다. 활강 - 자카드가 날아오른 뒤 직선으로 돌진하면서 대미지를 줍니다. 피격범위가 좁기 때문에 옆으로 피하면 간단하게 피할 수 있습니다. 회오리 - 자카드의 몸에 회오리가 생기고 샌드웜을 소환합니다. 검은 범위 안에 들어가면 대미지를 입게 되고 다단 히트되면서 상당히 많은 대미지를 입게 됩니다. 가시 - 자카드의 몸이 노랗게 변한 뒤 양손을 들어 땅을 내리칩니다. 땅을 내리침과 동시에 가시가 생성되며 주위에 있는 적을 공격합니다. 자카드의 머리 쪽으로 가거나 양옆, 뒷발 쪽으로 가면 피할 수 있습니다. 감옥 - 자카드가 돌을 사용해서 가둔뒤 마법 공격을 합니다. 바닥을 보면 마법 공격 위치가 보이니 위치를 보고 피해주면 됩니다. 꼬리침 - 자카드가 꼬리에 있는 침을 발사해서 공격합니다. 대미지는 약하지만, 회복 불가 디버프를 걸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꼬리치기 - 자카드가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리며 꼬리를 180도만큼 휘두릅니다. 꼬리는 휘두를때는 대미지를 입히지 않고, 되돌아가면서 대미지를 입힙니다. 생명의 눈 - 자카드가 생명의 눈을 소환합니다. 생명의 눈을 빠르게 클릭하지 않으면 공격대원이 모두 전멸하게 됩니다. 라운드 패턴 - 자카드가 맵 밖으로 날아갔다가 활강하면서 내려옵니다. 자카드가 날아다닐 땐 메테오가 떨어지고 대미지를 입으면 회복불가 디버프가 걸립니다. 활강은 위치를 보고 피할 수 있지만, 스치기만 해도 꽤 많은 대미지를 입을 수 있습니다. 브레스 - 자카드의 몸이 노랗게 변하면서 브레스를 발사합니다. 브레스 범위가 좁아서 자카드의 앞발 쪽으로 이동하면 안전하게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동속도가 빠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페이즈 4에서 광폭화 후 브레스를 맞으면 한 방에 죽을 수도 있으니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모래감옥 - 페이즈 4에 추가되는 패턴으로 브레스를 쏘기 전 두 명을 무작위로 골라서 모래감옥에 가둡니다. 모래감옥은 파괴할 수 있으니 대상자를 빨리 찾아서 모래감옥에서 탈출시켜야 합니다. 빛 발산 - "자카드가 빛을 내뿜습니다"란 대사 후 자카드가 빛을 내뿜어 시야를 가리고 버프를 삭제시킵니다. 대사가 나오면 등을 돌려 절벽 쪽을 바라보면 빛을 피할 수 있습니다. 회전 브레스 - 자카드가 브레스를 쏘면서 원형으로 움직입니다. 용이 지나간 바닥에 검은 원이 생기고 회오리가 생성되니 피하면서 이동해야 합니다. 자카드가 계속 브레스를 사용하므로 급하게 자카드를 지나치거나 앞질러서 움직이면 안 됩니다. |
■ 데저트 드래곤 자카드 페이즈 별 공략
◆ 페이즈 1(첫 진입 → 생명의 눈 파괴까지)
▲ 자카드 진입 시 첫 위치 by. maskhj 자카드를 상대하기 위해서 진입하면 위 이미지처럼 6시방향에 공격대원이 몰려있습니다. 이때 탱은 자카드의 어그로를 획득한 후 6시 방향에서 탱킹을 하고 나머지 인원은 9시쪽에 있는 생명의 눈을 파괴하면 됩니다. 생명의 눈을 파괴하면 10초 후 공격대원이 전멸할만한 대미지를 주는 폭발이 일어납니다. 폭발을 피하려면 다른 생명의 눈 주위로 가서 보호버프를 받아야 합니다. 9시 생명의 눈을 파괴했다면 빠르게 12시 방향으로 이동하고 탱커는 6시 방향에 있는 생명의 눈 주위로 가서 버프를 받으면 됩니다. 앞서 설명한 방법을 가지고 12시, 3시 6시에 있는 생명의 눈을 파괴하면 데저트 드래곤 자카드와의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됩니다. ◆ 페이즈 2(체력 20줄 → 체력 15줄)
페이즈 2부터 자카드와의 본격적인 전투가 시작됩니다. 자카드의 체력은 다른 보스들의 5배 정도로 체력이 무려 20줄입니다. 페이즈 2는 자카드의 체력이 15줄이 되고 생명의 눈 패턴이 다시 등장할 때까지입니다. 페이즈 2에서는 앞서 설명한 공격패턴 중 브레스 패턴까지 등장합니다. 페이즈 2에서 볼 수 있는 패턴이 자카드의 기본 패턴으로 이 패턴들에 익숙해지지 못하면 자카드 공략은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페이즈 2에서는 가장 까다로운 패턴인 생명의 눈 패턴이 등장합니다. 자카드 공략 중 3, 6, 9, 12시 방향에 생명의 눈이 등장하는데 빠르게 클릭하지 않으면 자카드가 공격대를 전멸시킬 수 있는 대미지를 주는 공격을 합니다. 미리 위치를 정해놓고 정해진 위치로 빠르게 달려가서 생명의 눈을 클릭하면 됩니다. 처음엔 어렵지만, 연습하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페이즈 3(체력 15줄 → 체력 10줄)
페이즈 3은 자카드를 직접 공략하는 페이즈가 아니고 참룡수호자 샤브라(전갈), 참룡광신도 바흐마(만티코어)와 전투를 반복하면서 자카드의 꼬리를 공격해 자카드에게 대미지를 주는 특수한 라운드입니다. 페이즈 3의 흐름
간단하게 설명하면 위에 설명한 흐름이 반복되는 것이 페이즈 3입니다. 하지만 바흐마와 샤브라를 동시에 탱킹하는 것이 쉽지 않고 카운트에 맞춰서 전갈을 처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꽤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 페이즈 4(체력 10줄 → 자카드 처치)
자카드의 체력이 10줄 이하가 되면 페이즈 2처럼 자카드와 직접 상대하는 페이즈 4가 시작됩니다. 페이즈 4가 시작되면 브레스 사용 전 무작위로 두 명을 모래감옥에 가두는 모래감독 패턴과 빛을 발산해 시야를 가리고 버프를 모두 지워버리는 빛 발산 패턴이 추가됩니다. 모래감옥은 대상자가 결정되면 빠르게 모래감옥을 공격해서 풀어주면 되지만, 빛 발산 패턴은 "자카드가 빛을 내뿜습니다!"라는 대사가 나왔을 때 바로 등을 돌려 피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 후 화면이 흔들리면 뒤돌아서 자카드 공략을 다시 시작하면 됩니다. 자카드의 체력이 9줄이 되면 공격대원 전체를 모래감옥에 가두는 전체 모래감옥 패턴이 등장합니다. 모래감옥에 걸리면 버프가 지워지고 치료불가 상태가 됩니다. 모래감옥 후 바로 높은 대미지를 주는 점프 찍기 패턴이 이어지므로 자카드의 움직임을 보고 점프해야 합니다. 모래감옥 패턴과 함께 페이즈 2에 등장했던 생명의 눈 패턴이 다시 등장합니다. 페이즈 2에서 했던 움직임 그대로 하시면 됩니다. 자카드의 체력이 5줄까지 떨어지면 회전 브레스 패턴이 마지막으로 등장합니다. 자카드가 브레스를 쏘면서 맵을 빙글빙글 돕니다. 자카드가 지나간 자리에는 까만색 원이 생기고 곧 회오리가 생성됩니다. 회오리를 피하면서 자카드의 뒤를 쫓다가 자카드가 땅으로 내려왔을 때 공략을 시작하면 됩니다. ▲ 그림으로 보는 회전 브레스 패턴 By. maskhj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