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그 유닛 중 하루가 다르게 활용법이 달라지는 유닛 1위를 꼽으라면 역시 '감염충'을 뺄 수 없을 겁니다. 감염충은 오픈 베타 때만 해도 바이오닉 병력을 구속하기 위한 '진균 번식'셔틀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저그 유저들의 지속적인 연구로 이제는 '감염된 테란', '진균 번식', '신경 기생충' 을 모두 적재적소에 활용하게 됐습니다. 지금부터 감염충을 200% 활용할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죠! /디스이즈게임 필진 나리나리
저그 유닛 중 감염충의 위치는 '지원형 마법' 유닛입니다. 감염충은 프로토스 고위 기사의 '사이오닉 폭풍'이나, 유령요원의 '저격'처럼 직접적인 공격을 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감염충은 여러 유용한 스킬들을 이용하여 저그가 전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근접 중심인 저그 병력들이 보다 수월하게 적에게 붙을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단, 위력적인 만큼 감염충의 생산 가격이 비쌉니다. 감염충은 100 광물 / 150 가스를 요구하므로, 전투를 벌이기도 전에 미스 콘트롤로 감염충을 잃는 일의 없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I. 감염된 테란 생성 - 4초의 시간 후 부화하는 감염된 테란 한기를 생성
감염된 테란 생성이야말로 그야말로 '재발견'된 스킬의 표본입니다.
감염된 테란의 느려터진 이동속도와 약한 체력은 '어디에도 쓸모가 없다'로 결론지어질 뻔했으나, 감염된 테란의 DPS(초당 대미지)가 의외로 높고, 공중공격이 된다는 점이 연구됐습니다.
이런 연구 끝에, 감염된 테란 생성이 진균 번식과 콤보로 의료선을 잡아내는 데 최고 효율을 보인다는 것이 입증됐습니다.
이번 GSL 결승전만 하더라도 김원기 선수가 김성제 선수의 의료선을 진균 번식 + 감염된 테란 콤보로 오는 족족 끊어먹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균 번식의 기본 대미지와 함께, 감염된 테란 두 기면 의료선 하나 정도는 거뜬히 잡아낼 수 있습니다.
II. 진균 번식 - 적 유닛을 8초 동안 구속하고 36의 대미지 부여
진균 번식은 멀티를 견제하는 '의료선+소수 바이오닉'방어에 효과적 !!
진균 번식은 감염충의 주 스킬입니다. 8초 동안 적을 구속하고, 총 36의 대미지를 입힙니다. 진균 번식은 범위로 들어가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뭉쳐 다니는 테란의 바이오닉 병력에 효과적입니다. 10월 15일 패치로 진균에 번식당한 추적자들이 점멸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프로토스전에도 그 활용도가 더 커질 전망입니다.
또 진균 번식 + 맹독충 콤보는 해병을 상대할 때 정말 효과적입니다. 다수의 공성 전차가 확보되어 맹독충이 굴러가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대군주의 '수송' 기능을 이용하여 맹독충을 하늘에서 떨어트려 봅시다. 그럼 공성 전차에게 피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맹독충을 폭발시킬 수 있습니다.
* 진균 번식 Tip !!
i. 진균 번식은 중첩할 수 있습니다. 적당한 때를 노려 진균 번식을 같은 대상에게 두 번 사용하면 해병 정도는 거뜬히 잡아낼 수 있어 멀티 방어에 유용합니다.
ii. <스타크래프트 2>의 옵션 창에서, '공중 유닛의 지상 원' 표시를 항상 뜨도록 체크해 둡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지상의 원에 진균 번식의 범위가 들어가게 시전해 주면, 공중유닛에 진균 번식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시군주가 떠있는 바로 밑에 원 모양으로 감시군주의 궤적이 표시됩니다.
III. 신경 기생충 - 15초 동안 적 유닛 한기를 조종. 집중 스킬.
신경 기생충은 테란전에 특히 강한 스킬입니다. 프로토스 전에 신경 기생충을 쓰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거신의 사거리가 길어 신경 기생충만으로는 거신을 조종하기 무리고, 또 역장 때문에 저그 병력의 진형이 흐트러져서 감염충이 제 활약을 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프로토스 전에서는 신경 기생충이 활용도가 낮아집니다.
반면에 테란을 상대할 때 특히 소수이면서 강력한 화력을 내는 테란의 군수공장 생산병력에게 주효합니다. 다수의 바이오닉 병력 + 소수의 공성 전차 서포트로 타이밍을 노리고 밀고 들어오는 테란 병력에서 공성 전차를 뺏으면 전투를 유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타 게임의 마법사는 대부분 강력한 마법을 구사하는 대신 체력이 약하죠? 감염충도 마찬가지입니다.
방어가 '중장갑' 타입이고, 90의 작은 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감염충끼리 뭉치는 성향이 강해 공성 전차에 굉장히 취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감염충은 웬만해선 저그 병력의 선두로 절대 보내지 말고, 항상 주 병력의 후방에 위치하며 아군을 지원해야 합니다. 후반에 저그는 감염충 없이 제대로 된 전투가 힘들기 때문에, 감염충의 허무한 죽음은 전투의 패배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