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취재

희비 갈린 3분기... 2024년 키워드는 '다각화'?

MMORPG부터 서브컬처, 시뮬레이션 게임까지

에 유통된 기사입니다.
안규현(춘삼) 2023-11-14 16:26:35
춘삼 (안규현 기자) [쪽지]
[산업]
/webzine/china/nboard/4?n=180511 주소복사

희비 갈린 3분기... 2024년 키워드는 '다각화'?

MMORPG부터 서브컬처, 시뮬레이션 게임까지

2023년 3분기, 엔데믹과 경기 둔화가 겹치며 게임업계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엔 국내 개발사의 신작이 무수히 나올 전망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다양한 신작을 준비하며 수익 다각화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배틀그라운드> '한 우물'로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는 크래프톤, <리니지> 시리즈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엔씨소프트 등 다양한 기업이 2023 지스타를 통해 2024년 발매 예정작들을 공개합니다. 


국내 게임 업체들은 이번 분기를 어떻게 지냈을까요? 또 내년은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요? 2023년 3분기 게임 업계 상황을 정리해 봤습니다. /디스이즈게임 안규현 기자






▲ 2023년 3분기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네오위즈로 <P의 거짓>에 힘입어 매출이 QoQ(직전 분기 대비) 67.5%가 증가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 9월 19일 출시된 <P의 거짓>은 10월에 누적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했습니다. 


▲ <P의 거짓> 판매량의 90% 이상은 북미, 유럽, 일본 등 해외에서 발생했습니다. 


▲ 네오위즈는 앞으로 IP를 확장하고, 탄탄한 내러티브 기반의 신규 IP 게임 개발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 <P의 거짓>은 지난 1일 공개한 로드맵을 통해 60여 개의 음원 출시, 스토리를 확장하는 DLC(다운로드 콘텐츠) 개발 계획 등을 밝혔고, 차기작 개발에도 착수했습니다.



▲ 2023년 매출 4조 달성을 앞두고 있는 넥슨은 올해 3분기 유일하게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등 안정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PC게임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FC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프라시아 전기> 등 모바일 라이브 타이틀의 성과가 주요했습니다. 


▲ 신규 IP <데이브 더 다이버>는 2백만 장 이상 판매에 성공하며 실적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 <데이브 더 다이버> 덕분에 북미 및 유럽 지역 매출은 YoY(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습니다. 


▲<데이브 더 다이버>는 <P의 거짓>과 함게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와 더 게임 어워드에 수상 후보작으로 이름을 올리는 등 그 인기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 최근 스팀에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 FPS <더 파이널스> 또한 750만 이용자를 기록하며 흥행의 조짐을 보였습니다.



▲ 크래프톤은 지난 2분기 보였던 약세에서 벗어나는 모습입니다. 매출은 QoQ 16.3% 늘었고, 영업이익은 QoQ 44% 증가했습니다.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의 서비스 재개 이후 중단 이전 수준의 매출과 트래픽을 회복했으며, 지속적인 신규 이용자 유입이 일어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크래프톤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중단 직전과 비교해 19% 상승했습니다.



▲ 넷마블은 <신의 탑: 새로운 세계>, <세븐나이츠 키우기> 등 신작을 출시했지만 적자 폭을 줄이는 데 그쳐 7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넷마블은 신작의 영향으로 한국 매출 비중이 QoQ 3%p 증가했지만, 국외 매출 비중이 83%로 여전히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습입니다. 


▲ 넷마블 권영식 대표는 "<세븐나이츠 키우기>와 <신의 탑: 새로운 세계> 등 2종의 신작들이 의미 있는 성과를 기록했기에 4분기에는 흑자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소셜카지노 게임사 '스핀엑스' 인수 금융의 여파 또한 넷마블 실적 개선의 어려움으로 꼽힙니다. 2021년 8월 스핀엑스 인수 발표 당시 넷마블은 21억 9천만 달러(당시 기준 약 2조 8,600억 원) 규모의 인수 대가 중 절반 이상을 차입으로 마련했습니다.


▲ 위메이드는 상반기 출시한 <나이트 크로우>의 안정적인 매출에 <미르의 전설 2, 3> 중국 라이선스 계약이 더해져 QoQ 47.9% 증가한 매출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습니다.

​ <미르의 전설> 관련 계약금은 1,000억 원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 반면 아직 '새 우물'을 찾지 못했거나 흥행에 실패한 게임사는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 전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리니지 W>의 매출이 YoY 54.3% 감소하며 부진을 보인 엔씨소프트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퍼블리싱작 <라그나돌> 외에 별다른 신작이 없었던 웹젠, 계절적 변동으로 인해 스포츠 부문(골프, 바이크 헤드셋) 매출이 감소한 카카오게임즈와 미디어 콘텐츠 사업이 부진했던 컴투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신작 쏟아질 2024년, 방치형·퍼즐게임 인기도 이어질까

엔씨소프트 <퍼즈업 아미토이>

▲ <나이트 크로우>부터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까지 MMORPG 신작이 많이 출시됐던 2023년이지만,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방치형 RPG나 퍼즐게임 등 비교적 작은 규모의 캐주얼 게임도 많이 출시되는 추세입니다. 


▲ 넷마블의 방치형 RPG <세븐나이츠 키우기>, 엔씨소프트의 퍼즐게임 <퍼즈업 아미토이>, 컴투스홀딩스의 방치형 RPG <소울 스트라이크> 등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이러한 시도는 캐주얼 게임의 넓은 이용자 풀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11월 기준, 낮은 사양과 낮은 가격의 인앱 구매 아이템을 내세운 <세븐나이츠 키우기>는 게임 매출 순위 10위 내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세븐나이츠 키우기>는 출시 후 45일 동안 4천만 달러(약 530억 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센서타워 추정치).


▲ 방치형과 퍼즐 장르는 그간 중소형 게임사가 다수 포진해 있던 장르인데요. 이같은 장르에 진출하는 대형 게임사의 사례는 MMORPG, 수집형 RPG 등 기존 주요 장르의 경쟁이 치열해진 결과로 볼 수도 있습니다. 


▲ 게임 수는 늘어났지만, 유저 수는 줄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모바일게임에서 기존의 수익 모델 만을 고수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지난 10월 31일 발간한 2023 게임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게임을 이용한 국민의 비율은 전년 대비 11.5%p 감소한 62.9%를 기록했습니다. 


모바일게임​ 이용자 비율이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습니다. 최근 1년간 모바일게임을 이용했다고 답변한 국민의 비율은 2022년 62.6%에서 2023년 53.2%로 9.4%p 감소했습니다.



▲ 물론 대형 타이틀 또한 다수 개발 중입니다.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는 것이 눈에 띄는 특징입니다. 


▲ 엔씨소프트는 12월 7일 MMORPG <쓰론 앤 리버티>를 시작으로 슈팅 <LLL>, 난투형 대전 액션 <배틀크러시>, 수집형 RPG <프로젝트 BSS>, MMORTS <프로젝트G>, 인터랙티브 어드벤처 <프로젝트M> 등 다수 신작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계획입니다. 


▲ 넷마블은 2024년 상반기에는 현재 얼리액세스 중인 TPS MOBA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의 글로벌 출시를 비롯, MMORPG <아스달 연대기: 세 개의 세력>, 싱글플레이 액션 RPG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MMORPG <레이븐2>, 턴제 RPG <킹 아서: 레전드 라이즈>, 보드게임 <모두의마블2>(한국) 등 신작 6종을 출시합니다. 중국 시장에는 <제2의 나라: Cross Worlds>을 선보입니다. 


​ 넷마블은 수집형 RPG <데미스 리본>, 오픈월드 액션 RPG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SF MMORPG <RF 온라인 넥스트> 등 차기작 또한 준비 중입니다. 


▲ 카카오게임즈는 글로벌 시장을 노린 PC용 MMORPG <아키에이지 2>를 개발 중이며, 로그라이크 캐주얼 RPG <프로젝트V>, MMORPG <롬>, <오딘>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서브컬처 계열의 수집형 RPG <프로젝트C>, 신규 IP 기반의 루트슈터 게임 <프로젝트S>, 쿼터뷰 시점을 적용한 풀3D 오픈월드 MMORPG <프로젝트Q> 등의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 2D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내세운 웹젠의 수집형 RPG <테르비스>, 공개와 동시에 화제를 끌고 있는 크래프톤의 <다크앤다커 모바일>과 <인조이> 또한 2024년 출시 예정입니다.


▲ 이 밖에도 국내 게임사가 개발 중인 주요 타이틀은 다가오는 지스타 2023을 통해 직접 만나볼 수 있을 예정입니다.


크래프톤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
MMORPG부터 서브컬처, 시뮬레이션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 걸친 신작이 출시된다는 점도 관전 포인트다.

최신목록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