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가장 높은 매출 성장을 보인 캐주얼 모바일게임 장르는 무엇이었을까?
정답은 퍼즐게임이다. 데이터 분석 기업 센서타워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퍼즐 장르는 지난 5년간 캐주얼게임 부문의 매출을 주도하면서 흥행하고 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11/20/20231120133246_7590w.jpg)
연도별 캐주얼게임 장르별 매출 비중 (자료: 센서타워)
2023년 1월부터 10월까지 전체 모바일 캐주얼게임 매출 중에서 퍼즐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0.7%였다.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다. 퍼즐게임은 전년에 비해 18%의 매출 성장을 기록해 하위 장르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캐주얼게임 전체의 매출 또한 크게 증가했다. 전체 모바일게임 중 캐주얼게임의 매출 비중은 2019년 10.9%에서 2023년 13.1%로 상승했다. 매출액 또한 2019년 약 3억 3000만 달러(약 3,850억 원)에서 2023년 5억 5000만 달러(약 7,440억 원)로 증가했으며, 매년 성장세를 기록했다. 결과적으로 퍼즐게임 매출은 2019년 약 1,400억 원에서 2023년 약 3,000억 원으로 5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11/20/20231120133309_4955w.jpg)
2023년 한국 퍼즐게임 매출 및 매출 성장 순위 (자료: 센서타워)
반면 매출 상위권은 여전히 '전통의 강자'들이 차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3년 1월부터 10월까지, 모바일 퍼즐게임 매출과 매출 성장 1위를 기록한 게임은 2021년 튀르키예 게임사 드림게임즈에서 출시한 3매치 퍼즐게임 <로얄 매치>였다. 2012년 출시한 <캔디크러쉬사가>, 2016년 출시한 <꿈의 정원>, 2017년 출시한 <꿈의 집> 등 출시한 지 오래 지난 게임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11/20/20231120133637_3116w.jpg)
3매치 퍼즐게임 <로얄 매치>
센서타워는 <로얄 매치>가 출시 이후 한국 시장에서 약 4,600만 달러(약 5,700억 원)의 수익을 올렸으며, 그 수익의 75%가 올해 1월부터 10월 사이에 발생했다고 추산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한국에서 <로얄 매치>의 매출은 208% 증가했으며, 마찬가지로 성장세를 기록한 미국(67%), 일본(193%), 독일(180%), 영국(53%) 등과 비교하면 한국 시장에서의 성장률이 가장 높다. <로얄 매치>의 국내 DAU(일일 사용자 수) 또한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3/11/20/20231120133331_5410w.jpg)
<로얄 매치> 일일 사용자 수 추이 (자료: 센서타워)
점차 확대되고 있는 캐주얼게임 시장에 지각 변동이 일어날까? 국내 주요 게임사들 또한 캐주얼게임 시장에 도전하는 추세다.
지난 9월 출시된 넷마블의 방치형 RPG <세븐나이츠 키우기>는 출시 후 6주간 4,000만 달러(약 51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엔씨소프트의 <퍼즈업 아미토이>, 컴투스의 <더 워킹데드: 매치 3> 등 3매치 퍼즐게임도 최근 출시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