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5월 출시 모델릭v1.0 대폭 업그레이드… 차별화된 3D 템플릿 활용·제작 서비스 제공
- 멀티 플랫폼서 3D 뷰어·시뮬레이터 제공… AI 기반 이미지 생성 등 연내 추가 업데이트 예정
- 에듀테크 시장서 활용 성과 두드러져… '모델릭표' 현대중공업 기술교육원 홈페이지도 호평받아
토탈 IT 서비스 기업 HNIX(에이치엔아이엑스, 대표 차동원)는 3D 콘텐츠 원스톱 저작 솔루션 '모델릭 플러스(모델릭 v2.0)'를 정식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모델릭 플러스는 지난해 5월 출시된 '모델릭 v1.0'를 대폭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솔루션이다. 저작도구 기능이 강화됐을 뿐만 아니라 모델릭 홈페이지 및 워크스페이스(modelic.xyz)도 추가로 구축됐다. 향상된 성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3D 템플릿 활용·제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델릭 회원이라면 누구나 워크스페이스 웹 서비스를 통해 3D 콘텐츠를 웹 스토리지에서 간편히 관리하는 동시에 제작한 콘텐츠를 손쉽게 주변에 공유할 수 있다. 특히 이용자가 직접 만든 콘텐츠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PC, 웹, 모바일 등의 멀티 플랫폼에서 3D뷰어와 시뮬레이터 등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올 상반기 중에는 XR(확장현실) 기기에서도 3D뷰어와 시뮬레이터 등이 제공될 예정이다.
아울러 모델릭 플러스는 구독형 서비스 모델 또한 제공한다. 개인 회원이라면 누구나 올 상반기까지 무료로 구독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업 회원의 경우 별도의 B2B 요금제가 적용된다.
모델릭 플러스의 뛰어난 성능과 이용 편의성 등은 앞서 출시된 모델릭 v1.0을 활용한 실제 콘텐츠 제작 사례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특히 에듀테크 분야에서 성과가 두드러진다. 성남 성일정보고등학교의 경우 모델릭을 활용해 학생들에게 3D 콘텐츠 크리에이터 양성과정을 진행했으며, 서울 장평초등학교는 모델릭을 이용해 디지털트윈을 구축하고 연구수업의 결과물을 가상전시로 제작해 학생들은 물론이고 교육 관계자 및 학부모들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 같은 성과를 계기로 HNIX는 모델릭의 에듀테크 시장 공략을 확대하기 위해 초중고 대상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있다. 모델릭 저작도구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해 학습 주제에 맞춰 3D 오브젝트와 3D 공간을 제작하고 VR(가상현실) 체험까지 진행하는 것이 해당 커리큘럼의 핵심이다.
이와 함께 HNIX는 지난해 HD현대중공업 기술교육원과 협력해 모델릭을 활용한 3D 콘텐츠 기반의 체험형 플랫폼 'TEI스튜디오'를 구축했다. TEI스튜디오 이용자들이 HD현대중공업 기술교육원을 직접 견학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전시관을 투어하는 형태로 제작했으며, HD현대중공업의 비전, 기술 교육 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동적인 3D로 재구성해 이용자들의 흥미도와 몰입감을 높였다.
이 외에도 모델릭은 지난해 실감미디어 전문기업 두리번의 버튜버(버추얼 유튜버) 플랫폼 '아이튜버(I-TUBER)와 함께 3D 버추얼 스튜디오를 제작하고, 버튜버가 직접 자신의 3D 공간을 제작하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 바 있다.
모델릭 사업 총괄인 박성우 HNIX 3D플랫폼팀 팀장은 "3D 콘텐츠에 관심 있는 사람이 전문 솔루션에서 느끼는 부담감을 해소하고 3D 콘텐츠 제작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모델릭을 개발했다"며 "최근 생성형 AI가 주도하는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고품질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AI 기반의 이미지 생성 및 3D 매핑 기능을 연내에 업데이트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해당 업데이트가 완료될 경우 모델릭 플러스가 진출한 에듀테크 시장 등에서 AI 활용과 다채로운 시나리오 체험형 교육까지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차동원 HNIX 대표는 "모델릭 플러스는 HNIX가 추진 중인 AI 비즈니스 가운데 첫 번째로 대중화된 서비스"라며 "HNIX는 다가오는 XR·AR(증강현실) 대중화 시대에 발맞춰 AI를 활용한 3D 플랫폼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HNIX는 HN그룹 소속 토탈 IT 서비스 기업이다. HD현대그룹, HDC현대산업개발, HL만도, HL홀딩스, 현대비앤지스틸, 현대코퍼레이션 등 국내 유수 기업을 대상으로 통합유지보수(ITO)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사물인터넷(IoT), AI, 메타버스 등 첨단기술 기반의 신성장 융합사업을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