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유명 부스의 게임을 빠르게 체험하기 위한 관람객들의 발길이 인상적이었다. 가장 인파가 많이 몰렸던 부스는 넥슨이다. <데이브 더 다이버>, <마비노기 모바일>, <퍼스트 디센던트>, <카트라이드 드리프트> 4종의 게임을 약 300부스 규모로 선보이면서 이용자들의 이목이 집중된 모양새다. 넥슨 부스는 행사장이 열린지 얼마 되지 않아 2시간의 대기열을 가득 채웠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547_4882w.jpg)
현장 입장을 기다리는 관람객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30448_3145w.jpg)
본격적인 입장이 이루어진 토요일(19일) 오후, 관람객은 행사장 앞을 가득 메웠습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627_7385w.jpg)
300석의 '역대급' 부스 규모 덕분인지, 넥슨에는 가장 많은 관람객이 가장 빠르게 모였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722_9502w.jpg)
크래프톤의 <칼리스토 프로토콜> 역시 관람객들이 주목한 게임이다. 19세 이상만 게임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밀폐된 공간에 체험존을 마련해야 했기에 주목도가 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 출시를 앞두고 게임을 체험해 보고자 하는 관객들이 모여 1시간 이상의 대기열을 채웠다.
그 밖에는 카카오게임즈의 기대작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와 넷마블의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에 인파가 몰렸다. 특히, 넷마블이 4종의 게임을 선보였음에도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의 대기열이 유독 긴 모습을 보이며 <나 혼자만 레벨업> IP의 힘을 입증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758_8661w.jpg)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747_3360w.jpg)
첫 날부터 다수의 관람객이 몰렸던 2관 역시 같았다. 가장 이용자들의 주목도가 높았던 부스는 '호요버스'로, 행사장이 열리자마자 <원신> 굿즈를 구매하기 위한 유저가 대기열을 가득 메웠다. 호요버스 지스타 매장의 대기열은 부스를 한 바퀴 두를 정도로 길었으며, 그 밖에도 신작 <젠레스 존 제로>와 <붕괴: 스타레일>을 체험하기 위한 관객들이 구름같이 모였다.
네오위즈의 <P의 거짓> 역시 주목받는 부스였다. 1시간이 채 되지 않아 2시간 30분 이상의 대기열이 생겼으며, 너무나 긴 대기열을 보고 아쉬운 발걸음을 돌리는 관객도 있었다. 국내 이용자에겐 지스타 2022가 사실상 <P의 거짓>을 처음으로 체험할 수 있는 장소란 점이 마음을 산 것으로 보인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845_1015w.jpg)
신작 게임 체험만큼 중요한 공식 <원신> 굿즈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1941_1323w.jpg)
<P의 거짓>을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유일한 장소인 만큼, 2시간 30분 이상의 대기열이 빠르게 찼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2/11/19/20221119112132_3406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