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공략&기행

레퀴엠 사해왕 비스크라 완벽공략

망고씨 2007-12-28 13:36:23

 

 

 

음..지금 모든 서버에서 비스를 잡기위해 줄기찬 해딩들을 하시고들 있죠

한 7-8번 시도를 해보고 나서 많이 느껴지는게 있어서 조금이라도 쉽게

여러분들이 공략을 할 수 있도록  이렇게 글을 쓰게 됩니다.

 

 

 

 

 

먼저 레퀴엠의 유저의 대다수가 기존 한국게임들만 해오던 유저가 많은관계로

레이드에 대한 기본개념이 많이 부족하다는것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게임에서의 레이드라고하면 다들 루인혼과 같은 패턴이 주류를

이어 왔기에 그냥 필드에 피통크고 공격력이 강한 커다란 몹하나 달랑 떨궈노면

치밀한 전략/전술이라든지 뛰어난 팀플레이로 <공략>의 개념이 아니라

그저 우르르 수십 수백명이 다굴 다굴 다굴..힐러는 피빠지는사람 힐 힐 힐...

-죽으면 부활  -눈부릅뜨고 힐 -죽어라 졸졸 따라댕기며 퍽퍽퍽 ..이 뭐 병..ㅎㅎ

이런 단순한 패턴의 전술만이 있을뿐이죠. 아~ 하나더 버프 꼬박꼬박 챙겨주기..;

 

오로지 "격수" 와 "힐러" 두가지만의 개념으로 레벨만 어느정도 되고

장비만 좋으면.. 사람만 많으면..  잡는것이 레이드라 다들 알고 있습니다.

 

더구나 몹에대한 선타로서의 우선권이나 무엇인가 확실한 체계나 공식이

있는것이 아니기에 오로지 다른파티보다 많은 대미지만 주면 아이탬을 먹다보니

그저 사람만 많으면..워려만 많으면..장비만 좋으면..그만이죠

그래서 독식 이라는 않좋은 상황이 발생하고 분쟁이 생기고

 

구라비티 측에서도 기존 다른 게임과같이 그냥  쌔고 큰몹 하나  덩그러니 내놨다가

"의도와 다르게 유저들이 이렇게 빨리 루인을 공략할 줄 몰랐습니다."

이런 소리나하며 실패한 시스탬이었다고 말했엇습니다.

 

여기서 제가 말하고 싶은것은 이런 "루인혼"과 같은 시스탬은

<레이드>라는 개념이 아니다. 라고 하는것입니다.

레이드가 아니라 그냥 <보스타임>  일명 <보탐> 이라는것일 뿐이죠.

 

오히려 레퀴엠 이게임에서는 유적지라던지  탄식 같은 인스턴스 던전이

레이드라는 개념에 가깝지만 이또한 북미형 게임이나 유럽형게임 개념의

시스탬을 밴치 마케팅하고 따라해서 내놓았지만  한국게임회사의

기술력 자본력 경험 게임성의 한계로인해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이미 흘러가버렸고 아직은 많이 허접한 수준에 미치는 정도입니다.

 

하지만 개발의도와 개임의방향이 레퀴엠이라는 게임 자체가

한국형시스탬 : 60%  북미/유럽형 시스템 : 40%

정도로 기존 국산게임보다는 북미/유럽형 시스탬의 차지하는 비중이

조금은 더 크기에 이번에 나온 비스(문어)를 기점으로해서 차후 나오게될

필드형 레이드몹 과 인던형 레이드몹의 성향이  점차적으로

<보탐>의 개념에서 <진짜레이드>의 개념으로 바뀌어 갈 것입니다.

 

이번에 나온 문어대가리도 아직은 <보탐>의 개념이 더 강한 수준이긴 하지만

루인에 비해서는 조금더 <레이드>의 개념으로 진화했고

기획자 측에서도 차후 나오게 될 레이드몹의 방향을 밝힌 바 있구요. 그 내용을 미루어

아마 루인같은 필드형 레이드몹 보다는  <인던형 레이드몹>쪽으로

많이 업데이트될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의 비스정도까지는 <진짜레이드>라는것의 기본개념이

부족해도 어찌어찌 공략할 수 있다고 해도  보다 쉽고 재미있게 공략할 수 있음에도

기존 <보탐>의 개념을 고수하고 힘들게 힘들게 공략을 하게 되고

차후 나오게 될 레이드에 갈수록 더욱 힘들어 질 것 같기에

 

조금이라도 더 쉽고 더 재미있게 즐길수 있도록 하기위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각 직업별 설명 부터 설명해야 할 것 같군요

 

 

 

 

 

먼저 기본적인 용어정리와 직업별 해야할일부터 설명드릴게요

 


[어그로(Aggro(Aggressive)]

 캐릭터에 대한 몬스터의 성향 수치로 캐릭터의 행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하며 어그로수치 1순위 캐릭터를 공격하게 됩니다. 레이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줄여서 "어글"이라고도 합니다.

 

쉽게설명하자면  <대미지10=힐량10=위협수준10> 으로 간단하게 요약할수 있겟네요

단일 대상몹에게 A는 300의타격  B는 200의타격  C는A에게 200의 힐을 하게되면

몹에게있어 위협수치가 A=300 B=200 C=200 이되어 몹은 A를 보게됩니다.

이때 A가 어그로를 획득했다 어글을 먹었다고 합니다.

 

다시 A는 200의타격 B는 100의타격  C가 파티힐로 각각 400의 힐을 했다면

위협수치가 A=500 B=300 C=1000  이됩니다.

몹은 자신을 가장 아프게 때린 A를 가장 위험하게 인식 A를 때리고 있던중

갑자기 AB의 합인 800 보다 200이 더높은 1000의 위협수준을 느끼게 됩니다.

직접 타격은 하지 않았지만 C는 AB보다 200 더 높은 타격을 주게 된거죠

그래서 이때 몹은 힐러를 보게되는 것입니다.

 

[탱커]

파티구성원들의 안전을 위해 몬스터의 주된 공격타켓이 되는 캐릭터를 말합니다. 주로 HP포인트가 높고, 방어력이 높으며, 몬스터의 공격 타켓을 자신으로 돌리는 스킬(도발)이 있는 직업군이 [탱커]가 됩니다. 레퀴엠에서는  <디펜더>가 탱커에 해당합니다.

 

워리어도 탱커로서의 성향이 있지만 디펜더는 워려의 도발 보다 높은수치의 도발을 가지고 있고  스킬들을 봐도 방어력,방패블럭, 블럭성공율, 워협수준을 증가시키는 공스킬

등등 이있고 다수의 적에게 공격을 당해도 가장 피감소폭이 적어 힐러의 부담을 가장 많이 덜어줄수있는 "탱킹"을 하기에 특화된 케릭인 것입니다.

 

연합내에서 가장 방어력과 피통이 높은 사람이 <메인 탱커>가 되고 그다음순으로

<서브탱커>부탱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죠 만약 디펜이 한명이라면

워리어가 <서브탱커>로써의 역활을 수행하게 되겠죠 이때는 버서커보다는

워로드가 검방으로써 서브탱의 역활을 수행하기에 적합합니다.

 

레퀴엠에서의 디펜은 높은 방어력과 블럭율 블럭수치로 인해 남들은 힘들어하는

엘리트몹 3-4젠을 무난히 할수있는 케릭이 되었죠

 

많은 대상에게서 공격을 당해도 피감소폭이 가장 적어 몸빵을 잘하고

어그로를 칼같이 잡아낼때에 가장 디펜다운 것이며 그것이 디펜인것입니다.

쌈 못한다고 질질..도발 너프됫다고 질질..도발 않좋으니 않찍는게 대세라며 않찍고..

이런분들은 디펜에 대한 개념부터 바로잡고

디펜의 자부심이 무었인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싸움에서는 밀릴지라도..

최전방에서 언제나 파티원들에게 쓸쓸한 등을 보이지만

힐러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적으로부터의 모든 공격을 방패를 들고 온몸으로 받아내고 파티원을 지키는 당신이 가장 멋있는 디펜더이고 진정한 디펜더입니다.

당신이 있기에 등뒤의 파티원은 믿고 딜링을 할수 있고 힐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것이 디펜더의 자부심입니다.

"당신은 파티의 아버지 입니다."

 

[딜러]

흔히 초당 데미지 지수 (Damage Per Second;DPS)가 높은 캐릭터나 한방 공격이 강한 캐릭터를 말합니다.
평균적으로 밸런스를 위해 데미지를 가하기 위해선 준비절차(케스팅,워려의느린공속)가 있거나, 캐릭터의 체력 자체가 약하다는 등의 패널티가 가해집니다.
온라인에서의 파티 플레이때 빛을 발휘하는 캐릭터이며, 보통 '탱커' 라고 불리는 몸빵캐릭과 같이 행동합니다.

 

레퀴엠에서는 워려,로그,샤먼,소울,공법 모두 딜러이긴하지만

<주력데미지딜러>의 성향이 강한것은  워리어와 로그가 이에 해당하죠

 

일반 필드파티사냥이라면 몹을 빨리 잡기때문에 탱커,딜러,누커,힐러의 개념이

크게 필요하지는 않고 격수,힐러 만의 개념으로서 맞는사람 힐주며 때려잡으면 그만이긴 하지만

 

레이드에 있어서 딜러는 <어그로관리> 이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탱커가 충분히 위협수치를 올려 어글을 먹을 시간도 없이

무작정 루인혼처럼 우르르 달려가서 마구 때리고나서 어그로를 획득후

"힐좀.." "도발 않해요?" 이러는 워리어,로그나

얼마나 컨트롤 잘한다고 컨트롤 한답시고 무빙 마법난사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격수는 타격도 못주고 졸졸 따라다니게하고  낮은 피통으로 힐러부담이나

주는 샤먼,공법 이나 개념부터 바꿔야 할 것입니다.

 

최소 도발10회이상 도발외침5회이상 과 그동안의 타격으로

충분한 위협수치를 메인탱커가 높인후에 연합장니나 메인탱커의 지휘하에

공격 명령이 떨어지면 그때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최대한의 효과를

발휘하여 딜링을 하는것이 딜러로서의 역활이 됩니다.

물론 좋아라 하며 위협수치무시 막무가네 딜링이아닌 어그로 관리는 필수라 할수

있겠죠.

 

항시 힐러를 주시하고 얘기치못한 상황 발생시 자신의 강격한 공격력이나 스턴 매즈기로써 순간적인 힐러보호와  순간어글 획득후 죽어라 그놈 물고늘어지는 것이 아닌

바로 탱커에게 달려가 이양해주고 다시 본연의 딜링 임무를 하는것이 딜러인 것입니다.

 

사냥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파티의 화려함은 당신에게 있습니다.

당신만이 폭발적인 혹은 꾸준한 타격을 적에게 줄수 있고 당신만이 할수 있는 일입니다.

당신이 있어 탱커는 믿고 모든 공격을 혼자 받아낼수 있고

당신이 잇어 힐러는 믿고 탱커에게 전폭적인 힐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당신은 파티의 맏아들 입니다."

 

[누커]

누커랑 딜러의 차이는 데미지를 입히는 상대방의 수에 따라 나눠집니다.

 

데미지딜러 인데 한 타켓에게 높은 데미지를 입히는 직업으로 단일 타켓 dd를 쏘는 형태라면 데미지딜러로 구분이 되고 누커는 광역마법 일명 누킹을 이용한 데미지 딜링형태로 데미지 딜러안에 속해진 작은 구분입니다

 

일반적으로 누커를 데미지 딜러라고 부르지만 데미지 딜러를 누커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그리고 누커에게는 5-6초이상의 긴시전시간이나 5-10분이상의 재시전타임을 가진

강력한 한방또는 2-3단 콤보 스킬을 가지고있어 위급상황이나 약산상대 피가 얼마

남지 않은 대상을 순식간적으로 처리 할수 있습니다.

 

 pvp에서도 누커랑 딜러의 차이가 나는데 딜러는 1:1 스토킹을 주로하며 누커는 일명 자살광... 좁은 지역에 진입하는 혹은 정비할려고 좁은지역에 뭉쳐있는 적에게 3명정도의 누커가 돌입해서 광역대미지를 주는 것이죠

 

그런데 광역도터의 경우는 누커라고 부르질 않습니다.

그건 상대방에게 힐을 할 시간적 여유를 주는 마법이기때문에 그렇습니다.

 

눈 깜짝할 대책없이 대량학살을 한다 누커의 정의겟지요 말그대로 "해결사"입니다.

 

하지만 레퀴엠에서는 샤먼,공법,소울이 누커로써의 성향이 있긴하지만

다소 미미한 수준입니다.

레퀴엠에서 샤먼,소울,공법의 지위가 누커도아닌 딜러도아닌 하이드리드도아닌

약간 어정쩡한 수준이라 단정을 지을수 없고 복합적인 개념이라 할수 있습니다.

 

누커는 특히 쟁에서 빛을 발휘합니다.

 

[하이브리드]

두개이상의 특징을 가지고 여러가지 역활을 수행할수 잇는 직업입니다.

대표적으로 드루이드라는 케릭이 그에 속하고

성기사,팻또는소환수가 있는케릭(소환술사,네크로맨서,정령술사 등등)

이 하이브리드에 속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상황에따라서 탱커가, 딜러가, 힐러가, 누커가 아니면 파티내의 써포터가...

이렇게  두가지 이상의 직업을 자유자제로 플레이할수 있는 직업입니다.

 

레퀴엠에서는 위에 누커에 설명에서처럼

샤먼(딜러,누커,써포터),소울(딜러,써포터),공법(딜러,누커),프로텍터(탱커,힐러) 이런직업들이 하이브리드의 성향을 약간 가지고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레이드에 있어 조미료 역활입니다.

있으면 전력이 배가되고 진행이 수월해지고 없으면 아쉽고

힘든 진행이 되는거죠

 

[힐러]

힐러는 따로 설명 하지 않하도 모두 아는 그것이 힐러입니다.^^

머 말 않해도 중요성은 다들 아실거라 봅니다.

싸움과 사냥을 못하더라도...

당신만이 파티원을 대량 치료할 수 있고  당신만이 죽음을 삶으로 바꿀수 잇습니다

당신이 있어서 모든 파티원이 믿고 각자의 일을 마음껏 할 수 있는거죠^^
"당신은 파티의 어머니 입니다"

 

 

 

 

 

 

자 이제 비스를 쉽게 잡아보죠

 

일단 파티의 구성과 역활 분담을 하게 되겠죠. 제가 말하는것이

정석은 아니라고 일단 말씀 드리고 싶고 인원수에있어 +-오차 1-2명정도로 계산

하시면 될것입니다.

 

딜러=워리어,로그   써포터=샤먼,공법,소울 

 

<1파티>                          <2파티>              <3파티>

1.디펜더(메인탱커)           1.디펜터               1.디펜더(디펜이없다면 검방워려)

2.디펜더(서브탱커)           2.워리어               2.워리어

3.로그                            3.로그                   3.로그

4.샤먼(써포터)                 4.딜러                  4.딜러

5.로그                            5.딜러                  5.딜러

6,레디언트(메인힐러)        6.써포터               6.써포터

7.레디언트(메인힐러)        7.힐러                  7.힐러

8.레디언트(메인힐러)        8.힐러                  8.힐러

 

 

 

[디펜더의 할일 1]

1파티 1번디펜은 처음 시작부터 끝날때까지 비스를 탱킹하게 됩니다.

가장 방어 피통 블럭 블럭율이 높은 디펜이 하는게 좋습니다.

중요한것은 탱킹의 위치입니다. 일단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제일먼저 비스에게달려가

비스를 끌고 동굴 안 가장 않쪽 서리로 대리고가 등을 벽에대고 섭니다.(중요합니다)

비스의 머리가 벽을 보게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략 1분정도 도발 도발의외침을 쿨타임마다 사용하며 때리며 어글을 쌓아줘야 합니다. 위협수치 증가 공스킬을 찍엇다면 더더욱 좋겟죠.

그리고 대략 1분후 1파2번 서브탱이 가서 메인탱이 했던것과 같이 어글을 쌓아줍니다.

혹시라도 메인탱커의 사망시 다른 딜러나 힐러에게 튀는것을 방지하기위해 

두번째 위협수준 수치를 유지해주는 것이죠

 

두명이 대략 1-2분(보다 안정적이게 가려면 각각 소 2분은 쌓아줘야 안전하더군요)

참고로 두명의 어그로타임을 합산5분정도 했을시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비스가 튄적 없습니다.

 

이것이 메인탱과 서브탱이 해야할일입니다.

메인탱과 서브탱은 분신이 나오건말건 자리 고수하고 탱킹해야 합니다.

 

[디펜더의 할일 2]

2파티 1번 디펜더는 일단 다른 딜러들과 같이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분신이 나왔을시에 할일이 생기는거죠.  분신이 나오면 바로 탱킹을 할 준비를

하게되고 나오면 바로 도발로 분신을 끌고 다른쪽 구석으로 끌고갑니다.

끌고가면서 계속 도발 스킬 평타  ...분신은 빨리 잡아 줘야하기때문에 어그로타임을

30초에서 1분 내외로 하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분명 어그로타임 필요합니다.

충분한 어그로타임후 모든 딜러들과 함께 분신을 잡게 되는데  분신이 초반 한마리씩만 나올경우에  이 2파2번 디펜의 할일이 그놈을 탱킹하는 것입니다.

 

 

[디펜더의 할일3과 함께 3마리분신시 모두의할일]

이정도 되면  3파 디펜의 할일이 대충 감이 오실겁니다.

중반이후 3바리의 분신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에는  1파2번 디펜과  2.3파 디펜이

각각 하나씩 맡아줘야겠죠 이떄 1파2번디펜은 잠시 빠저주셔도 됩니다.

3마리의 분신이 나오게되면 3마리분신을 모두 한곳으로 몰아줍니다.

그리고 1파딜러는 1파2번 디펜의 타겟 어시스트 광역스킬 쿨마다 팍팍

2파딜러는 2파디펜어시 광역스킬 쿨마다 팍팍 3파는 마찬가지죠

여기서 써포터에 해당하는 딜러는 광역스킬 계속 팍팍 넣어주며 자기파 타겟

어시 해줘야합니다.

 

[워리어 로그 해야할일]

제일 간단 합니다. 말그대로 딜링 팍팍 가장 확실한 대미지 딜러입니다.

탱커들의 어그로타임을 가진후 연합장의 공격명령이 떨어지면 죽어라

패는 것입니다.  레이드에 있어서 제압 이나 갑옷부수기같은 스킬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거의 없겠지만 배운 사람이 잇다면 쿨타임마다

팍팍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워리어 뿐아니라

모든 직업이 가지고있는 상대 능력치 감소 시키는 디버프스킬들이

있다면 쿨타임마다 무조건 넣어 주십시오

사냥이나 1:1에서는 쓰레기이지만 레이드에서 엄청난 빛을 발하는 스킬입니다.

 

분신이 나오면 분신탱의 어그로타임후 공격명령이 떨어지면 바로 분신을치고

다시 비스치고 반복하다 3마리 분신시 자신의파티 분신 점사 쿨타임마다 광역스킬난사

이것이 워려의 주임무입니다.

 

중요한것은 무작정 달려가서 때리는것이 아니라 연합장의 지휘하에

공격하라할때 공격하고 빠지라 할때 빠저 주어야합니다.

 

로그는 발차기<<최소 3명은 필수인 케릭터입니다. 모두가 비스를 칠때는

물론 누가할거없이 모든 로그가 비스의 버프를 날려주셔야하고

분신 한마리만 나올때도 마찬가지입니다.

 

1파3번 로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비스만 잡고 계십시오 분신 잡을때도

남아서 비스버프 날려주셔야합니다. 

그리고 3마리의 분신시  1파 3번을 제외한 나머지 로그들이 각자 자신의

탱커가 맞고있는 분신의 버프를 날려주셔야합니다.

 

그리고 자리는 탱커가 벽을등지고 몹의머리를 벽을보게 향했다면 그 몹의

등을 치십시오 혹시라도 어그로가튀어 딜러를 볼시에 몹의 머리방향만 봐도 바로 알수

있으면서 비스의 머리가 딜러쪽으로 돌아가면 바로 해당 어글을 먹은

딜러는 탱커의 자리로 가주셔야합니다.

 

 

[써포터의 해야할일]

1파 4번 샤먼은 메인탱커의 방어나 힐토탬 등등  메인탱커만을 위한

써포터 입니다. 이 샤먼 또한 끝까지 비스만 잡고 있으면서 계속적으로

탱커에게 이로운 버프토탬을 상황에 맞게 지속적으로 깔아주셔야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파티의 써포터는 딜러들과 함께 움직이는대에는 큰틀은 같고

분신시 각자 자기 파티원들을 써포터해주며 딜링 을 해주고 3마리 분신시

모든 마나를 쏟아 부어서 광역 팍팍 날려주십시오

 

써포터의 역활은 딜링도 중요하지만 딜링도 하면서

각종 파티에 이롭고  비스에게 해로운 저주나 디버프거는 마법들을 쿨타임마다

무조건 가지고있는 모든 스킬 돌려주십시오. 1순위 디버프,저주,파티원 이로운 버프

2순위가 딜링 입니다.  3마리 분신시에만 신들린듯이 딜링하시면 됩니다.

 

써포터의 위치는 힐러들과 함께입니다.

 

[힐러의 해야할일]

1파티 의 3명의 힐러는 처음부터 끝까지 메인탱 힐러입니다. 메인탱에게 개인힐 전체힐

되는대로 다넣어주시면 저절로 파티원의 힐은 되고 1파티의 8번힐러가

1파티 다른 파티원의 개인힐을 챙겨줍니다. 6,7번 힐러는 절대 개인힐을 파티원주지마시고 메인탱에게만  파티원의 위급 개인힐은 8번힐러가 담당하면 됩니다.

 

그리고 비스만 잡을시에는 2파7번  3파7번 힐러도 메인탱커의 전담 힐입니다.

이분들또한 개인힐은 메인탱에게만 하고 전체힐로만 자신의 파티힐을 합니다. 2.3파에 8번 힐러들이 자신파티원들의 개인 힐,전체힐을 담당합니다.

 

그리고 한마리 분신시에는  1파힐러를 제외한 모든 힐러가 분신을 잡고잇는 2파1번디펜을 힐을 하게되고 2.3파 7번힐러는 지속적으로 전담 으로 2파1번디펜 힐하고 8번힐러들이 파티원들은 신경 서주시면 됩니다.

 

3마리의 분신시에는 정신이 없습니다.

1파티의 3명의 힐러만이 계속적으로 비스를 잡고있는 메인탱커를 힐해주고

나머지 힐러들은 센스것  힐을 해주셔야합니다.

 

그리고 힐러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항상 힐거리는 최대거리를 잡아주셔야합니다.

디펜들이 일단 벽을 등지고 몹의머리를 벽으로 향하게 하고 그뒤를 딜러들이 잡고있을때  힐러는 몹의 옆구리의 위치하게되어 탱커 딜러 힐러간  삼각형의 구도를이룬다면

힐러의 꼭지점은 그옆구리에서 최대한 뒤로 쭉~ 빠지는 것입니다.

탱커와 딜러를 모두 힐할수있는 최대거리로 빠저서 자리를 잡아주는 것입니다.

 

[기타 주의사항]

위의 말한것이 대략적인 기본 틀이라 할수 있습니다

1.메인탱커의 충분한 어그로타임

2.한마리 분신일때와 3마리분신일때의 각자 해야할일

3.연합장의 적당한 판단하에 어그로타임조정 공격명령 철수명령

4.각자의 위치 자리잡기

 

 

그리고 만약 중간에 비스나 분신이 딜러나 힐러에게 튀었을 경우에는

빠른 공격 중지 명령과함께  다시 메인탱커가 어그로를 먹을 수 잇도록

해야합니다.  이때 어글 드신분은 빠르게 무조건 메인탱커가 탱을하던 위치로

달려가셔야합니다. 죽어도 됩니다 죽더라도 메인탱커의 자리로 가야합니다.

 

이것들이 가장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기본적인 공략 개념이며

부수적으로 충격기와 더불어 충분한 물약보유

아 맞다 개인별 물약 충분히 두둑히 챙기는것은 기본인거 아시겠죠

힐러의 부담을 얼마나 덜어주느냐에  성공과 실패가

갈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메인탱커가 필요하고 어그로타임이 필요하고

필수 개인 물약이 필요한것입니다.

 

힐러의 부담을 덜어주는 법에대해서도 나열한다면 몇십줄이지만

제일 기본적인것은

1.기본 개인휴대 물약 아끼지 않기

2.무분별한 딜링이 아닌 어그로라는 개념을 가지고 치고 빠지기

3.몹이 무슨 스킬을 사용합니다. 하고 경고메세지 시에

  탱커를 제외한 모든 딜러 범위 밖으로 빠르게 빠저주기

  이것이라 할수 있겠네요

 

 

너무 두서없이 쓴거같은데.. 조금이라도 이글을 보고 도움이되고

비스공략에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script> function ViewPic(filename) { window.open('viewimage.php?name=' + filename, '', 'directories=no,location=no,menubar=no,resizable=yes,scrollbars=yes,status=no,titlebar=no,toolbar=no,width=400,height=400'); } function pic_resize() { for(i=1;i<2;i++) { if ( eval('document.pic_' + i + '.width > 530') ) { eval('document.pic_' + i + '.width = 530') ; } } } window.onload = pic_resize; </script>
최신목록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