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뉴스센터

던전앤파이터, 독왕도 이계템 벗을 수 있어요! 독왕 탈크로니클 세팅공략

독왕학개론 2015-11-25 10:12:09

 



 

독왕의 캐릭터 정보창(Info)을 볼 때 주로 어떤 모습이 연상되시나요?

 

 

 

아마 대부분은 위와 같은 모습이 연상되지 안을까 싶네요. 크로니클인 인텐츠 봄 9세트를 장착한 후에 나머지 한 부위는 속성강화 마법석 등 중요한 아이템으로 채워나가죠.

 

과연 이 모습이 독왕의 전부인지 질문을 던져봅시다. 뭐 전부일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레이드를 뛰는 독왕분들 다수가 이 인텐츠 봄을 활용하고 계시기 때문이죠. 그러나 세상에는 언제나 예외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독왕도 탈 크로니클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말입니다. 저도 탈크를 했고 실제로 탈크를 한 독왕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독왕의 탈 크로니클 세팅 공략을 위주로 소개하지만 탈크를 하기 이전의 크로니클 세팅공략도 잠시 짚고 넘어갈 것입니다.

 

*탈(脫) 크로니클 : 던파 안에서 크로니클위주의 아이템 구성을 벗어나 상위등급인 레전더리나 에픽을 이용하여 스펙을 구성하는 것. (축약어 : 탈크)

 

■ 목차

1) 독왕 아바타세팅(탈크 독왕)

2) 탈 크로니클 전. 크로니클 추천세팅

3) 독왕, 탈 크로니클의 기본 방향

4) 탈크 시 무기에 대하여

 

 

 

■ 1) 독왕 아바타 세팅 

 

기본적인 메인 세팅뿐만 아니라 스위칭 세팅도 소개하겠습니다. 메인 세팅을 소개하면서 스위칭용 아바타는 별도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위 명

 기본 옵션

 엠블렘

 플래티넘 엠블렘

상의 / 하의 

 독문무공 or 도발

HP MAX

물리 크리티컬

 도발

상의 : 상의 기본옵션은 독문무공과 도발 둘 중에 하나를 합니다. 탈크 독왕은 물공독왕의 스텟구조를 가지며 템셋 구조에 따라 상태변화 대미지와 타격 대미지의 각 비중은 다릅니다. 때문에 상태변화 대미지를 위해 도발을 선택해야하는지 타격 대미지를 위해서 독문무공을 해야하는지가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독문무공은 2차각성 스킬이기 때문에 스킬렙에 따른 대미지 차이가 매우 큰 편이므로 독문무공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독문무공으로 지속적인 공격을 하지 않아도 적을 정크스핀, 그라운드 킥, 독무 등으로 빠르게 제거하실 수 있으신 분들은 도발이나 핵심딜링스킬을 택하겠죠.

 

● 하의 : 기본옵션을 MP MAX로 하는 때도 있었지만, 현재 최종 컨텐츠인 안톤레이드 던전은 적의 공격 한 방 한 방 강력합니다. 따라서 최대한 생존을 위해서는 HP MAX를 사용하죠. 결투장에서 써먹을 수도 있고요.

 

● 엠블렘 : 독왕은 용독술로 크리티컬이 16%만큼(달인의 계약을 기준으로는 20%) 상승하기 때문에 기본 크리티컬은 상시 크리티컬을 만들기 위해서는 81% 이상 만들어줘야합니다.


(던파캐릭터 고유의 크리티컬확률 3% + 용독술 16% + 81% = 100%)

 

사실 백어택을 고려하면 독왕의 크리티컬확률 기대치가 올라가지만 상시 백어택을 노리기엔 무리가 있고 정크스핀의 경우도 백어택이 터졌다 안터졌다 하기 때문에 크리티컬을 최대한 올려주어야합니다. 머리 모자와 함께 힘+ 물리크리티컬히트 옵션을 가진 듀얼엠블렘을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실제로 듀얼엠블렘으로 부여했을 때 총 스텟 증가량을 보면 단일옵션 엠블렘으로 부여했을 때보다 조금 더 높습니다. 크리티컬 100%를 만드는 것이 쉽진 않지만 최대한 올려주셔야합니다. 더하여 마법부여 역시 노블스카이 보주, 케인 혹은 장총 맥스 카드 등 크리티컬 옵션을 가진 아이템을 활용합니다

 

아무리 해도 부족하다 싶으시면 큐브의 계약(+5%)이나 도핑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플래티넘 엠블렘 : 플래티넘 엠블렘은 도발을 합니다. 물론 핵심 딜링스킬을 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인 딜링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도발을 하는 것이 더 좋다고 봅니다.

 

*독 바르기 스위칭 전용으로는 상의 기본옵션을 독 바르기로 하며 플래티넘도 모두 독 바르기를 합니다.

 

 

 부위 명

 기본 옵션

 엠블렘

 머리 / 모자

 지능

 힘

독왕에게 사공수련이 있긴하지만 차원의 힘 작이 잘 되있지 않은 이상 스텟에 사공수련의 영향을 받는 것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기본옵션을 지능으로해줍니다. 메인딜은 힘이기 때문에 엠블렘은 힘으로 합니다.

 

 

 부위 명

 기본 옵션

 엠블렘

 얼굴 / 목가슴

 공격속도

 공격속도

 탈 크로니클을 할 때 공격속도는 중요합니다.

 

 

 부위

기본 옵션

 엠블렘

 허리 / 신발

 허리 회피율, 속성저항 / 신발 힘

 적중률 / 이동속도

● 허리 : 허리의 경우 회피율을 하면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다크 고스 세트나 죽은 기장의 골견갑과 같이 속성저항이 공격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속성저항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 신발 : 힘이 중심이니 신발은 힘으로 합니다.

 

● 엠블렘 : 기동성을 위해 이동속도를 해도 좋습니다. 독왕이 기본적으로 적중률이 낮은 캐릭터이긴 하지만 클로마스터리에 적중률이 붙어있기도 하고 홀리오더가 있으면 스트라이킹을 통해 적중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적중률의 비중이 과거에 비해서 낮은 편입니다. 단, 무기가 클로 이외의 무기라면 적중률을 해줍시다. 독왕의 고유 적중률은 낮기 때문입니다.(한 때 다수 유저들이 적중률에 대해 건의할 정도로 적중률이 낮습니다.)

 

 

부위

 기본 옵션

 엠블렘

 피부/오라

 -

 물리 크리티컬

● 오라 : 패키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옵션 설명은 생략합니다. 피부의 경우는 딱히 정해진 것 없이 입맛에 맞춰 하시면 됩니다. 결투장에서는 상대의 직업을 보고 물리 피해 추가감소 / 마법 피해 추가감소를 결정하기도 합니다. 

 

● 엠블렘 : 피부와 오라의 모든 엠블렘은 크리티컬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 2) 탈 크로니클 전 추천 세트

  

마공전용 크로니클 세트와 물공전용 크로니클 세트 각각 하나씩 소개합니다. 마공 쪽에서는 인텐츠 봄 세트를 소개하고요. 물공 쪽에서는 어게인스트 더 페어니스 세트를 합니다.


 
● 인텐츠 봄 세트 

 

자본적 여유가 있으신 분들은 크로니클을 거치지 않고 바로 레전더리, 에픽으로 넘어가시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라면 크로니클을 거칩니다. 

 

특히, 독왕은 더더욱 그럴 수 밖에 없는 직업 중 하나입니다. 탈 크로니클이 주류가 되지못하고 오히려 최종컨텐츠를 누리고 있는 독왕유저분들이 대부분 이 인텐츠봄 세트를 사용하시기 때문이죠. 

 

이 인텐츠 봄은 베놈마인을 특화한 세트로, 바꿔말하면 물공이 아닌 마공세팅입니다. 따라서 마공으로 어느정도 성장한 후 물공으로 전환하는 형태를 많이 취합니다.

 

 

- 인텐츠봄 세트로 인한 베놈마인의 변화

 

 


 

 

인텐츠봄 x

 

 

인텐츠봄 9셋 장착 시
 

 

독기둥 개수가 증가하고 기둥 간격이 크게 좁아지기 때문에 대미지의 차이는 몇 배에 이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세트를 통해 현재 안톤레이드까지도 충분히 진입할 수 있습니다. 

 

 

● 어게인스트 더 페어니스 세트

 

 

 

 

 

그라운드킥과 정크스핀에 더하여 크레이지발칸까지 물공 스킬에 초점을 맞춘 세트입니다. 쿨타임도 짧게 줄여주고 딜링도 나쁘지않지만 중심딜이 고정대미지여서 한계점이 있습니다. 안톤 등의 상위컨텐츠에서는 거의 힘을쓰지 못합니다. 물론 무기가 좋으면 어느정도 커버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힘을 쓰지 못합니다. 또한 인식자체가 좋은편이 아니기 때문에 안톤이상에서 어게인을 낀 독왕유저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인텐츠 봄과 어게인 세트는 대미지를 올리는지만 

 

번외로 천라지망 피해증폭 증가와 장시간 홀딩에 좋은 더티트릭 세트가 있습니다. 이는 딜링기능보다는 파티원 보조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천라지망의 피해 증폭률을 30%에서 45%까지 끌어올리고 정크스핀의 투척 개수를 10개 상승시킵니다. 

 

 

 

 ■ 3) 용독문주, 탈 크로니클의 기본방향

 

탈크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기 전에 탈크의 성공 조건은 무엇인지 말씀드리려합니다. 다소 추상적인 설명일지도 모르겠지만, 한 부위 한 부위가 각각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 때 탈 크로니클에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바꿔말하면 마땅히 낄게 없어서 아무거나 대충 채워버린 경우가 없을 때를 말합니다.

 

이 때문에 탈크로니클의 핵심은 벨트다! 라는 말도 있을 정도죠. 물론 풀 에픽세트를 파밍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레전더리를 병행한 탈크를 한다면 벨트를 무엇으로 채울지가 만인의 공통 고민사항이거든요.

 

본격적으로 독왕의 탈 크로니클 방향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어떠한 점을 충족해야하는 지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추천 아이템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탈크를 할 때 올 에픽세트로 탈 크로니클을 할 수도 있지만 풀에픽을 얻기란 쉽지 않으니 골드로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레전더리부터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이템 추천은 레전더리 위주로 추천드릴 것입니다.

  

● 속성

 

최종 컨텐츠인 안톤레이드에서 속성별 좋은 순서는 수-암-명-화입니다. 때문에 빙결사나 스핏파이어 같이 속성이 강제적으로 정해지지 않는 딜러들은 수속성을 많이 하죠. 캐릭터 자체가 극히 일부스킬을 제외하고는 속성이 없는 독왕 역시도 수속을 하겠구나 싶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소울브링어 때문에 암속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레이드를 갈 때 독왕은 소울브링어와 같은 파티에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로 시너지가 좋기 때문이죠.

 

왜 소울브링어와 붙을까요? 우선 소울브링어의 몽롱한 눈 브레멘에는 상태변화 내성 감소가 있습니다. 브레멘 레벨 30/ 브레멘 강화 6 + 영역의 지배자 6셋을 기준으로 상태변화 내성 감소량이 120입니다. 이는 도발 15레벨에 달하는 수치로 상태변화 대미지가 한 층 강해집니다 또한 소울브링어의 강령을 통해 상태변화레벨(라사 강령)과 스텟(카잔 강령)을 올릴 수 있습니다. 추가로 귀영섬을 통한 선홀딩도 독왕이 쉽게 홀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렇게 조합이 잘 맞는 소울브링어는 암속성에 특화되어있습니다. 달의커튼, 칠흑의 공포, 툼스톤 트라이앵글까지 상대의 암속성 저항을 낮추는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시너지에 스펙만 받쳐준다면 독왕이 레이드에서 함포방어전을 제외하고 불가능한 포지션은 사실상 없습니다. 그렇다면 암속성에 좋은 아이템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추천아이템: 죽은 기장의 골견갑, 만개하는 흑연의 기운

 

 

 

 

 

골견갑의 경우 암속성 저항 50을 만들어야 암속성 강화를 최대로 보는데요. 격투가는 암속성 저항 50을 만들기 위해 70을 올려야합니다. 격투가는 기본적으로 암속성 저항이 낮기 때문이죠. 어려워하실거 없습니다. 암속성 저항 50을 만드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기 때문이죠.

 

차원의 봉인(스페셜던전 업적퀘 클리어 시 습득) : 6

칭호북 : 5

레어아바타 허리 기본옵션 : 35 (앞서 아바타 옵션에 대해 말씀드릴 때 잠시 설명드렸던 부분입니다.)

레어아바타 8세트옵션 : 10 

골견갑 기본옵션 : 12

 

6+5+35+10+12 = 68

 

나머지 2는 속성저항 엠블렘을 푸른빛이나 노란빛 엠블렘 쪽에 살포시 올려주시면 끝납니다. 빛나는 엠블렘으로 하셔도 충분합니다. 골견갑의 옵션을 최대한 받으면 암속성 강화가 42상승합니다.

 

 

만개하는 흑연의 기운 같은 경우에는 독립공격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순수대미지가 고정대미지(그라운드 킥, 정크스핀) 위주로 이루어진 독왕에게  좋습니다.

 

또한 공격시 확률로 암속성 강화 옵션이 발동되는데 독문무공의 독사, 정크스핀 등이 생각보다 타격수가 많아 옵션이 잘 터집니다.

 

이외에도 불길한 거대 박쥐 바지, 절망을 부르는 울음소리 등이 암속성 강화를 많이 올려줍니다.

 

 

● 크리티컬 100%

 

 

 

앞서 아바타에서도 말했지만, 무기를 리버레이션 클로나 블러드오브 홀로코스트로 하지 않는다면 크리티컬 100%에 도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클로 외의 무기라면 더더욱 어렵겠지요. 하지만 크리티컬을 최대한으로 올릴 시 일반적인 경우를 넘어 좋은 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극대화입니다. 극대화는 상태변화 대미지가 20% 상승하는 효과를 일컫는데요. 이 극대화의 발동 확률이 물리크리티컬 확률과 마법크리티컬 확률의 평균입니다. 극대화 발동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크리티컬을 최대한 올려야겠죠.

 

 

 

● 상태변화 딜링능력

 

 

 

 

 바르기 스위칭, 도발스위칭과 더불어 토그를 잡거나 정크스핀을 사용할 때 대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독 대미지를 상승시키는 아이템을 사용합니다. 옆의 아이템과 같은 것들은 모두 단리연산입니다.

 

즉, 상태변화 대미지가 원래 100이 뜬다하면 왼쪽의 갈비뼈와 사념구를 장착했을 때

 

100+100*(0.45+0.4) = 185와 같은 계산식이 나옵니다. 

 

독 바르기 세팅, 도발세팅, 상변세팅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blog.naver.com/tlrror9496/220542306640 

-독왕 스위칭 아이템 정리

 

 

순수 대미지 딜링능력

 

상태변화 대미지를 올렸다면 순수 대미지도 올려야합니다. 계속 토그만 잡고 앉아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성장하는 것이 RPG게임의 묘미지요. 순수 대미지를 올릴 때는 딱히 어떠한 템을 추천드리기 보다는 유의사항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좋은 아이템이야 이미 황룡문양팔찌, 앱솔루트 필드, 탐식아이템 등 선택범위가 워낙 넓으니까요.

 

유의사항 1. 힘에 집착하지 맙시다. 다른 직업군 역시 그러하겠지만 소중한 한 부위를 스텟 올리는 목적으로만 사용한다면 다른 효율적인 아이템을 놓치는 것입니다.

 

유의사항 2. 쿨타임 초기화 아이템은 좋지만 쿨타임 감소 아이템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안톤과 안톤레이드는 상대를 만나자마자 순식간에 제거해버리는 것이 주 패러다임입니다. 따라서 쿨타임이 길더라도 파티원에게 양해를 구하고 기다릴 수도 있으니 쿨타임 감소 아이템의 의미가 사실상 거의 없습니다. 특히 독왕은 홀딩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파티원에게 "정크 쿨 좀.."하면 다들 너그러이 기다려주십니다.

 

유의사항 3. 조합을 중요시해야 합니다. 2015.11.17일자 기준으로 탐식의 잔재가 퍼스트서버에서 크리티컬 대미지 15%증가로 상향되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아싸 잔재써야지~ 할 수도 있겠지만

 

 

만일 위의 사진과 같이 다른 부위에 크리티컬 대미지를 증가시켜주는 아이템이 이미 있다면? 잔재를 낄 경우 기존 아이템을 빼야합니다. 그리고 다른 것으로 대체해야하죠. 이 때 비교를 해야합니다. 

 

탐식의 잔재(반지) + 대체할 벨트 VS 기존의 반지 + 기존의 크리티컬 대미지 증가아이템. 

 

잔재가 좋다하여 무조건 잔재를 끼는 것은 옳지 않겠죠? 각 측의 아이템 성능을 모두 합치고 보면 잔재로 바꾸지 않을 때가 더 좋을 수 있으니까요.


※참조. 위 스펙에서 벨트는 '돌격대장의 만능 벨트'로 크리티컬 대미지가 9%증가하는 옵션을 지니고 있습니다.

 

유의사항 4. : 어느정도의 공격속도는 확보해야합니다. 독왕은 특히나 후딜레이나 역경직이 긴 스킬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공격속도 확보를 통해 어느정도 만회해야하며 빠르고 정확한 홀딩을 위해서도 공격속도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쉽진 않겠지만 가능하다면 공격속도를 어느정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하시면 좋습니다.

 

유의사항 5. : 에픽을 어느정도 얻어두세요. 타란튤라 등 레전더리로는 범접할 수 없는 에픽 아이템들이 있습니다. 또한 레전더리를 모두 통틀어보아도 독왕의 모든 방어구 악세 특수장비를 레전더리로 채우기란 무리입니다. 채우더라도 성능이 안나오죠. 따라서 꾸준한 헬파밍을 통해 차근차근 독왕에게 좋은 에픽 일명 코어픽을 확보해야 합니다.

 

 ■ 4) 탈크 시 무기에 대해


Q: 독왕의 무기는 무조건 클로다?

독왕의 무기가 무조건 클로란 법은 없습니다. 특히 탈크독왕은 더욱 그렇습니다. 에픽의 좋은 옵션이 클로를 벗어남으로 인한 물리 마법공격력의 손실을 매울 수 있다면 클로가 아니어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이기 건틀릿*너클, 베르세르크 등이 그에 해당합니다. 

 

● 다소 주관적일 수 있는 무기 순위

1) 구원의 이기 클로

2) 클로 제외 구원의 이기

3) 타르위 자리체

4) 베르세르크

5) 원귀의 손톱 (상대가 인간형)

6) 클로, 베르세르크를 제외한 '옵션이 좋다.' 라고 말해지는 에픽무기들 (EX 미인건)

7) 리버레이션 클로, 블러드 오브 홀로코스트

 

이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좀 더 정확한 정보가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상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은 기사 댓글이나 //blog.naver.com/tlrror9496 개인 블로그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신목록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