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직업별공략

던전앤파이터, 소울브링어가 일톤/레이드에서 할 일

gaowang 2015-09-03 17:42:21

​안녕하세요. 

 

이번엔 처음 일톤을 접하시는 다크로드 분들이 브레멘, 카잔 정도만 깔아둔 채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안타까워 글을 쓰게 됐습니다. 다크로드(소울브링어 2차 각성)가 안톤 던전에서 무엇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릴까 합니다.

 

다크로드가 홀딩이 지속적이지 않은 직업과 레이드 또는 일톤에 가게 될 때를 대비해 다크로드의 간단한 홀딩법과 몇가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다크로드의 홀딩법

 

● ‘라사’와 ‘블레이드 팬텀’을 활용한 홀딩

 

흔히들 다크로드가 ‘블레이드 팬텀’을 사용하면 다단히트와 동시에 패턴을 유발해버리는 현상이 나와 오히려 피해가 가게 될 뿐더러 히트리커버리가 높은 적을 상대로 사용할 경우 그냥 유유히 걸어나오게 됩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블레이드 팬텀’만 사용
네르베가 유유히 걸어서 나온다.

 

 

이런 경우에는 라사를 활용하면 장판만으로도 홀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라사는 범위 내 적에게 ‘둔화’와 ‘히트리커버리 감소’ 효과가 있어 ‘블레이드 팬텀’과 연계해 홀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영상은 두 스킬의 연계로 네르베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히트리커버리가 높다면, 낮추면 되는 겁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라사’를 쓴 뒤 ‘블래이드 팬텀’을 사용
네르베가 경직으로 인해 홀딩된다

 

 

● 빙결 홀딩

 

화속성 딜러가 있는 파티를 제외하면 빙결은 제법 좋은 홀딩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야 레벨만 올려서 그대로 사용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사야에는 1레벨만 주고 강령을 사용한 뒤 EX결정의 사야를 사용해 빙결을 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야로 홀딩 시 꾸준한 다단히트가 필요한데(강령 사야의 빙결과 재빙결까지의 시간벌이용), 사야가 풀려 패턴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 강령술 스킬 툴팁

 

 

사야 강령 시 빙결 상태의 적에게 30% 증가된 대미지를 줄 수 있는데요. 수속성 딜러나 빙결을 수시로 걸어주는 직업(류탄 여스핏, 빙결사 등)에게 이점을 줄 수 있지만, 화속성을 사용하는 딜러가 파티에 있는 경우에는 빙결 홀딩이 좋은 방법이 아니므로 파티 조합을 보고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빙결 홀딩 활용 예시 

 

 

● 지그 홀딩

 

흔히 자주 활용하시는 지그의 잠식 홀딩입니다. 미리 지그의 잠식을 사용해 선홀딩을 할 수 있다는 강점과 제법 긴 시간 동안 홀딩이 가능해 좋은 녀석입니다. 아래 영상과 같이 지그를 활용해 선홀딩을 한 후, 귀영섬과 열파참으로 홀딩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지그를 활용한 홀딩 예시

 

 

[새 창에서 영상보기]

▲ 인형과 다크로드의 홀딩 기술을 활용해 둠 타이오릭을 괴롭혀봤다.

 

 

이 홀딩 기술들은 아그네스에서 지그로 선홀딩, 에게느 눈뜨는 타이밍에 맞춰 귀영섬으로 캔슬, 마테카 2페이즈 멜타도록 눈생성 지그 잠식으로 저지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토그 잡기

 

안톤에서 가장 딜이 안들어가기로 소문난 몬스터 ‘토그’는 방어력이 Max인데, 패턴 중 하나인 속성 구슬을 알맞게 먹이면 속성 저항을 어마어마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이때 다크로드는 흑염의 칼라에 있는 방어무시 대미지로 엄청난 대미지를 낼 수 있습니다.

 

 

▲ ‘흑염의 칼라’ 스킬 툴팁과 ‘블레이드 소울’ 세트

 

 

‘흑염의 칼라’의 불꽃 공격력이 방어 무시 대미지인데요. 속성 저항이 어마어마하게 내려간데다 방어맥스인 토그를 방어무시 대미지로 딜하니 이 딜링을 따라잡을 직업이 드뭅니다. 

 

‘블레이드 소울’ 세트에는 흑염의 스킬 쿨타임 감소, 지속 시간의 증가가 있어 끊김 없이 칼라를 사용할 수 있을 뿐더러, 대미지 증가와 9세트에 붙은 대미지 간격 감소는 불꽃 대미지가 중요한 토그에게 있어서는 최적의 옵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칼라의 이계 특화 세팅인 ‘블레이드 소울’을 이용하여 딜링을 하기만 해도 다른 직업보다 빠른데, 여기 하나 팁이 더 있습니다. 바로 툼스톤의 활용입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툼스톤’을 미리 설치해두고 폭딜을 하는 영상

 

 

위 영상은 툼스톤 특화 세팅인 ‘망각의 무덤비’ 6세트와 ‘섀도우 레이지’ 3세트를 끼고 툼스톤을 시전 후 블레이드 소드로 갈아타는 영상입니다. 주의깊게 봐야할 포인트는 ‘흑염의 칼라’ 상태라면 비석이 적에게 검은 불꽃을 붙인다’입니다.

 

툼스톤은 낙하 시점뿐만 아니라 낙하된 후 꽂혀있는 상태에서 적이 다가와도 피격하게 됩니다. (빙결사의 아이스 빅 헤머처럼) 이 점을 이용해 토그가 속성 구슬을 먹고 아프다고 외치는 틈에 툼스톤을 미리 깔아두면, 무적이 풀림과 동시에 툼스톤 여러개가 한 번에 여러 번 적용 됩니다.

 

기존 3개밖에 붙이지 못했던 칼라가 동시에 여러개 붙개 되면서 딜량이 훨씬 증가합니다.

 

 

▲ 툼 스톤 스킬 정보

 

 

 

■ 마테카 카운터

 

마테카는 공격 타이밍에 맞춰 카운터 공격을 해 한문으로 쓰여진 금, 토, 혈, 풍을 뽑아 마법진에 넣은 후 각 한자별로 소환되는 네임드를 처리해야 마테카 딜링이 가능해집니다. 이 카운터가 나름 까다로운 편인데 이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바로 스킬 훔쳐배우기를 통해 ‘블러드 러스트‘를 습득하는 방법이죠. 러스트는 손을 뻗고 있는 중이라면 어느 때에 들어오더라도 잡히므로, 카운터 타이밍을 어려워하시는 분들께는 안성맞춤 입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블러드 러스트’를 배우면 패턴을 쉽게 지나갈 수 있다.

 

 

■ 끌잡

 

마지막으로 끌잡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결투장에서 자주 쓰이는 방법으로 ‘끌어서 잡기’라 불리는 방법인데, 이를 ‘귀영섬’과 함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귀영섬 TP1레벨을 투자해 후 딜레이가 감소된 귀영섬을 그은 후, 당길 장소로 가서 귀영섬의 대미지가 들어가는 타이밍에 열파참이나 블러드 러스트를 허공에 사용하면 귀영섬에 잡혀있던 몬스터가 끌려와 잡히게 됩니다.

 

 

[새 창에서 영상보기]

▲ 끌잡 예시 영상


위의 여러 방법들을 다 알고 있는 분도 많을테지만, 모르는 분들을 위해 적어봤습니다. 장판만 깔고 빈둥대기보다는 여러가지로 작게나마 도움이 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레이드 다니는 소울분들 화이팅입니다.
최신목록 11 | 12 | 13 | 14 | 15 | 16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