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임박한 올해 최고 기대작 <사이버펑크 2077>가 소수 유저에게 ‘뇌전증 발작’(epileptic seizure)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외신 게임인포머 기자 리아나 루퍼트(Liana Ruppert)는 7일(현지시간) 작성한 기사에서 자신이 실제로 발작을 경험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리아나 루퍼트는 바이오웨어 출신으로 코믹북닷컴 편집장 등 직책을 역임한 뒤 현재 게임인포머 기자로 활동 중이다.
루퍼트는 과거에 사고를 당한 뒤로 빛의 깜박거림에 의해 유발되는 광과민성 뇌전증을 앓고 있다. 뇌전증 발작은 유발 원인이 다양하다. 특정 외부 자극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과거 <포켓몬스터> TV 애니메이션의 한 에피소드가 광과민성 발작을 유발해 논란이 됐었다. 해당 에피소드는 결국 방영이 금지됐다. 비슷한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을 감안해 일부 게임은 도입부에 ‘소수 유저가 플레이 중에 광과민성 발작을 경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루퍼트는 <사이버펑크 2077>을 플레이하면서 강한 발작을 1회 겪었으며, 이외에도 수차례에 걸쳐 비슷한 발작이 찾아올 뻔했다고 전했다. 광과민성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시각적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빨간색으로 깜빡거리는 특유의 UI
▶ 조명이 화려한 인게임 클럽 및 술집
▶ ‘조니 실버핸드’ 등장씬 (파란색 빛이 반짝거리는 효과)
이보다 더 위험한 요소는 ‘브레인댄스’ 시퀀스다. 브레인댄스는 미래형 가상현실 장치다. 주인공 V는 주로 다른 사람의 기억을 체험하기 위해 브레인댄스를 사용한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0/12/08/20201208171218_1437.jpg)
브레인댄스에 돌입할 때마다 주인공 V는 특정한 기기를 머리에 착용한다. 이때 적색, 백색 LED가 격렬하게 반짝거리는데, 이것이 유저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루퍼트에 따르면 이 빛은 현실에서 신경과 전문의들이 진단 목적으로 광과민성 발작을 일부러 유발할 때 사용하는 의학장비와 매우 유사하다. 루퍼트는 “실제 기계를 본떠서 만든 것이 아니라면 아주 절묘한 우연의 일치”라고 전했다.
루퍼트는 자신도 이 구간에서 강한 발작을 겪었다며, 같은 증상을 겪는 환자들에게 이 부분을 ‘아예 쳐다보지 말라’고 권했다.
그에 따르면 청색광 차단 필터, 색맹모드, 밝기 줄이기 등의 방법이 발작 가능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런 수단을 동원해가며 플레이를 강행하기보다는 위험 구간을 아예 플레이하지 않거나 지인 도움을 받아 건너뛰길 바란다고 그는 충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