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6월부터 현재까지 10만 명이 넘는 국내 구직자에 취업에 필요한 디지털 스킬을 지원, 올해에는 기업이 기술 기반의 고용 활동을 활성화하도록 그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함께 극복하고자 지난해 ‘글로벌 스킬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자사의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3천만 명이 넘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다. 특히 한국에서도 10만명 이상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취업을 위한 도움을 받았다.
이를 위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대학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 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콘텐츠를 폭넓게 제공해 왔다. 공공기관과는 AI 교육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해 무료 학습을 지원했으며, JA 코리아 등 비영리단체와 디지털 취약계층 3천여명에게 AI 교육을 제공하기도 했다.
아울러 기업 대상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약 3천여 명이 클라우드 관련 교육 과정을 수강, 이 중 6백명이 중급 이상의 고급 교육을 수료했고, 총 935개의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 자격증을 획득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4/01/20210401094319_5047.jpg)
여기에 더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전 세계의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숙련된 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새로운 프로그램과 플랫폼을 론칭하는 등 경제 회복을 위한 새로운 지원책을 마련한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말까지 소프트웨어 개발직, 기술 영업직 등 가장 수요가 높은 10개 직종에 대한 무료 교육 과정과 저비용 인증제도 지원을 연장한다. 구직자는 누구나 링크드인 러닝과 마이크로소프트 런을 통해 직무에 맞는 디지털 스킬을 배양할 수 있으며, 팬데믹으로 실직 혹은 휴직에 처한 사람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자격시험을 할인된 가격으로 응시할 수 있다.
또 구직자들의 디지털 스킬 획득이 실제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자와 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새롭게 선보인다.
링크드인은 무료 학습 프로그램과 스킬 평가를 결합, 기업 채용 담당자가 검증된 스킬을 바탕으로 보다 공정하게 지원자를 발굴할 수 있도록 ‘스킬 패스’ 서비스를 내놓았다. 직무에 필요한 스킬을 습득한 구직자는 기술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고, 평가를 받은 구직자는 채용 담당자와 연결되는 구조다. 현재 글로벌 1위 자산운용사 ‘블랙록’, 미국 대표 의류 유통사 ‘갭’ 등과 시범 운영되고 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21/04/01/20210401094321_3769.jpg)
디지털 취약 계층의 취업을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커리어 커넥터’도 론칭한다. 경제 활동에 제약이 있는 구직자는 마이크로소프트 비영리 및 학습 파트너사를 통해 디지털 스킬 프로그램을 제공받게 되고, 취업을 위한 기술을 함양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통해 향후 3년 동안 5만 명의 구직자가 기술 직종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링크드인 프로필 기능이 업데이트되어 앞으로 동영상을 커버스토리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직자는 자신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보다 진정성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업과 공유하게 된다. 또 팀즈에서는 링크드인 기반의 새 애플리케이션 ‘커리어 코치’가 추가, 고등학생들이 멘토, 동급생 등과 자신의 커리어 목표, 적성, 스킬 등의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 최고법률책임자 브래드 스미스 사장은 “지난 일 년간 우리는 팬데믹이 우리 사회의 가장 취약한 계층의 삶을 위협하는 것을 목격했다”며 “이제 우리는 글로벌 스킬 이니셔티브를 한층 확장해 링크드인과 협업하고 더 많은 대안 일자리와 높은 유연성, 그리고 접근 가능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새로운 일자리와 긴밀히 연결함으로써 더 포용적인 인력 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 글로벌 스킬 이니셔티브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