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TV의 아침 정보 프로그램 <모닝와이드>가 게임중독에 대해 방송했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과 게임중독을 동일시하는 내용이 전파를 탔다.
<모닝와이드>에서는 24일 ‘학부모를 위한 겨울방학 나기’라는 주제로 겨울방학 특집방송을 진행했다. 오전 7시 30분 방송된 3부의 주제는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었다. 하지만 실제 방송은 인터넷게임과 스마트폰게임 중독에 대한 내용으로 채워졌다.
스마트폰 중독은 곧 게임중독? 헷갈리는 방송 구성
<모닝와이드> 3부는 스마트폰 중독을 주제로 시작됐다. 2013년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들에게 공부에 방해되는 요소를 평소 어떻게 관리했는지 질문하고, 학교에 찾아가 학생들의 학업 실태를 알아보았다. 두 장면에서 중점적으로 부각된 것은 스마트폰이었다. 만점자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어떻게 활용∙제어하느냐를 고득점의 비결로 꼽았고, 일선 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이야기했다.
이후 초점은 스마트폰 중독에서 게임중독으로 옮겨갔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사례로 게임에 빠져 부모에게 막말을 일삼는 청소년의 모습을 보여줬고, 게임에 빠져 낮은 성적만 기록하다가 이를 극복하고 명문대에 진학한 학생을 스튜디오에 초대하기도 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3/12/24/20131224141319_2237.jpg)
패널로 참석한 중독포럼의 이해국 교수는 “게임을 즐길수록 쾌감중추가 발달하고 충동을 조절하는 전두엽은 줄어들게 된다. 결국 아이들은 쾌감중추를 만족시키기 위해 게임에 집착하게 된다. 아이의 행복과 불행이 게임에 달렸다”고 말했다.
<모닝와이드> 방송 이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과 게임중독을 같은 개념으로 놓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들이나 일선 학교 선생님들이 스마트폰에 대해 지적한 것은 SNS, 인터넷, 게임 등 여러 콘텐츠를 수시로 접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3/12/24/20131224134438_4975.jpg)
일부 게이머는 이러한 <모닝와이드>의 논리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을 게임중독과 동일시하는 4대 중독법(이하 중독법)과 같다며 우려하기도 했다. 중독법에서 국가가 게임중독에 관여해야 한다는 주요 근거로 내세웠던 것은 게임중독에 대한 통계가 아닌 인터넷중독에 대한 통계였다. <모닝와이드> 스튜디오 패널로 참석한 이해국 교수는 지난 10월 열렸던 중독법 공청회에서 법안에 찬성하는 주제로 발표한 바 있다.
![](http://file.thisisgame.com/upload/nboard/news/2013/12/24/20131224133935_7139.jpg)
<모닝와이드> 3부 패널로 참석한 중독포럼의 이해국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