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게임인

“심선, 완전히 한국게임으로 바꿨다”

심선 온라인 한글화 작업팀 인터뷰

이재진(다크지니) 2009-05-22 07:33:02

단순 ‘번역’에 머무르는 한글화는 대접 받기 힘든 시대입니다. <월드오브워크래프트>로 ‘완역’의 참맛을 본 국내 유저들은 게임 퍼블리셔들에게 더 많은 주문을 하죠. 더 신경 쓰고, 더 고민하라고요. 우리말의 맛을 살린 ‘적절한’ 한글화. 말은 쉽지만, 막상 제대로 하기란 만만하지 않습니다.

 

중국 문화가 짙게 깔린 <심선 온라인>도 만만치 않은 한글화에 도전한 경우입니다. 게임 자체가 ‘낯섦’으로 똘똘 뭉쳐 있죠. 조롱박과 지팡이로 요괴를 때려 잡고, 천상과 해저를 넘나들며 신선이 되기 위해 기상천외한 모험을 합니다. 개구리에 메기, 학, 거북이, 구름을 타고 다니고요. 황당하면서 유머러스한 느낌을 살리면서 ‘중국색’을 최대한 ‘한국화’해야 합니다.

 

이 어려운 숙제를 풀고 있는 이들을 만났습니다. /디스이즈게임 이재진 기자


※ 이번 인터뷰는 <심선 온라인>의 한글화를 맡은 라티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스의 오용식 과장, 유운주 PM(번역), 유형수 씨(QA 테스터)와 함께 진행했습니다.


 

먼저 라티스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스에 대한 소개를 간단히 부탁한다.

 

오용식(오른쪽 사진): 주로 우리나라 게임을 외국어로 바꾸는 작업을 많이 한다. <아크로드> 영어 버전, <리니지> 일본어 버전 등을 해왔고, 최근에는 <아이온>과 <프리우스>의 일본어 버전을 맡았다.

 

영어, 일본어, 중국어 가리지 않는데 국산 온라인게임이 수출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해외 버전 현지화 일이 많다. 중국어를 한국어로 바꾸는 작업은 <심선 온라인>이 처음이다.

 


작업 기간은 얼마나 걸렸나. 현재 상황은.

 

유운주: 지난 해 12월 중순부터 번역에 들어가서 3주 후에 작업을 끝냈다. 최근까지 QA 테스트를 진행한 상황이고, 계속 한글화의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심선 온라인>의 한글화 작업량은 얼마나 되나.

 

유운주: 엑셀 라인 수로 약 68,600 라인 정도된다. [많은 것인가?] 엄청나게 많은 양이다(웃음). 10명 정도가 투입되어 1차 번역과 검수를 마치고 QA 테스트를 거쳤다. 지금은 클로즈 베타테스트 버전을 만들기 위한 수정 작업을 하고 있다. 문서 번역 차원을 넘어서 게임에 실제로 적용했을 때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도록 다듬는 과정이다.


 

요즘 한글화라고 하면 ‘직역’과’ 완역’의 차이를 많이 따진다. <심선 온라인>은 중국 전통 문화가 짙게 깔려 있고, 직업 이름도 독특해서 힘들었을 것 같다.

 

오용식: 지금까지도 음역과 완역에 대해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한자를 완전히 다 없앨 생각은 하지 않지만, 한자어를 그대로 살릴 경우 의미전달이 어려워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참 애매한데 유저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너무 어려운 한자는 쉬운 한자로 바꾸거나, 대체할 한자가 없을 경우 적당한 한국어로 바꾸고 있다.

 

 


기문둔갑 협객, 공화 마술사 등 직업 이름이 생소하다. 음역으로 가나.

 

(인터뷰를 지켜보던 CJ인터넷 김상훈 PM이 설명을 도왔다) 김상훈: 일단 직업 이름은 (음역) 그대로 가기로 했다. <심선 온라인>의 한글화의 기준은 ‘탄력 적용’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한자라면 그대로 가고, 너무 중국색채가 짙으면 완벽을 하고 있다. 캐릭터들의 이름은 완역으로 새롭게 바꿨다.

 

유운주: 말을 아예 한국어로 바꾸는 완역의 경우 일종의 창작에 가깝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좋지만, 항상 이렇게까지 다 바꿔도 되나라는 고민을 거듭한다. 원문의 의미를 최대한 살리면서도 한국 정서에 맞게 바꾸는 게 어렵다. 어디까지 직역이고, 어디까지 완역인지 결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심선 온라인>을 한글화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유운주(오른쪽 사진): 길이제한 때문에 고생했다. 한자는 하나의 음절이 의미를 가지니까 문장이 짧다. 이걸 한국어로 바꾸면 훨씬 길어진다. 결국 번역하면서 문장의 길이를 줄이는 게 가장 어려웠다. <심선 온라인>이 소재로 삼은 중국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나 현지 전래 동화들도 생소해서 바꾸는 데 신경을 썼다.

 

이를 테면, 원작 <조롱박 형제>(1980년대 중국에서 인기를 끈 애니메이션)는 아무리 잘 번역하더라도 우리나라에 소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낯설다. 그래서 한국 전래동화 중에서 비슷한 이야기가 있으면 차용하기도 한다. 중국의 이야기를 우리에 맞게 바꾸는 것이다.

 

오용식: 중국색이 짙어서 한국 정서에 맞게 바꾸려고 노력했다. <심선 온라인>의 기반이 된 애니메이션 <조롱박 형제>도 찾아서 봤다. 20년도 더 된 영상이었지만 내용은 재미있더라.

 

 

 

원작 <조롱박 형제> 애니메이션의 느낌은 어떤가.

 

오용식: 일단 애니메이션 자체는 저연령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느낌이다.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배추도사 무도사>와 딱 들어맞는다. 참고로 실제 <심선 온라인>은 기반만 <조롱박 형제>에 두고 있지 그대로 따라가는 것은 아니다. 그렇더라도 중국 역사나 문화를 알아야 하는 부분이 있다. 게임 속에서 나오는 퀴즈 때문인데, 원작의 퀴즈는 중국 정부에 대해 묻거나 중국인들이 관심이 많은 시사문제나 상식에 대한 퀴즈가 많다.

 

김상훈: 그래서 <심선 온라인> 한글판의 퀴즈는 모두 새롭게 바뀐다. 국내 퀴즈 은행에서 구입해 우리나라 정서와 상식에 맞는 것들로 처리하고 있다. <심선 온라인>의 한글화 목표는 최대한 중국색을 지우는 것이다.

 

 

 

중국 개발사 픽셀 소프트의 반대는 없었나.

 

김상훈: 적극 협조했다. 한국 정서에 맞도록 게임 내용을 바꾸는 작업에 그들도 적극적이었다. 게임의 성공이 우선이라는 데 이견이 없었던 것이다.

 

 

한글화를 하면서 애를 먹였던 단어나 문장이 있었다면.

 

유형수(오른쪽 사진): 퀘스트 부분은 주로 말투를 우리 정서에 맞게 바꾸려고 했다. <심선 온라인>에서는 몬스터를 공격하면 말풍선이 뜨는데, 직역을 하다 보니 한국 정서와 맞지 않아서 전혀 다르게 바꾼 것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어떤 몬스터는 유저의 공격을 맞으면 어머니, 먼저 가는 불효자를 용서하세요~라는 말을 한다. 그런 말을 하니까 차마 때리질 못 하겠더라(웃음). 한글판에서는 아파요~ 살려주세요 등으로 바꿨다.

 

유운주: 게임 아이템 중에 중국 인기 드라마 주인공의 이름이 붙은 게 있어서 대장금으로 바꿨다. 중국 드라마는 한국에서 거의 모르니까 우리에게 익숙한 드라마로 치환한 셈이다.

 

 

작업을 하면서 <심선 온라인>을 직접 해봤을 텐데, 느낌은 어땠나.

 

유형수: 무엇보다 쉽다’는 게 특징이다. 예를 들면 <월드오브워크래프트>는 퀘스트 지문에 지역이 나오고, <아이온>은 퀘스트 지문에 나오는 지역을 클릭하면 지도로 위치를 보여준다. <심선>은 퀘스트 지문에 나오는 지역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캐릭터가 그곳까지 이동한다. 또한, 초보자 알림말이 과하다 싶을 정도로 풍부해서 접근하기 쉬울 것이다. 그래픽은 사실적이지는 않지만, 감정표현이 풍부하고 애니메이션을 보는 느낌이어서 호감이 갔다.

 

오용식: 자동 길 찾기 시스템을 보고 , 이 게임은 국내용이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국내 유저들은 퀘스트를 꼼꼼하게 읽기보다 빠른 성장을 원하는 경우도 많으니까. 레벨업 과정에 스트레스가 없을 것이다. 덕분에 흐름이 끊기지 않아서 몰입감도 높다. 감정표현이 있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유저가 슬플 때는 캐릭터를 슬픈 표정으로 바꾸고 돌아다닐 수 있어 좋았다.

 

 

 

끝으로 <심선 온라인> 한글판을 기다리는 유저들에게 한 마디 부탁한다.

 

유운주: 솔직히 한글판을 즐기는 유저의 입장에서 원문이 어땠고, 번역문이 어땠나를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 그저 <심선 온라인> 한글판를 사람들이 즐겁게 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했다. 개인적으로 번역가라서 게임을 잘 하지 않는데, <심선 온라인>은 정말 접근이 쉬웠다. 한글화도 이에 맞도록 재미와 쉬움을 추구했다.

 

오용식: <심선 온라인>MMORPG입문서’ 같은 게임이다. 물론 나중에 가면 도전할 만한 심화 컨텐츠도 나오더라.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한글화에 정성을 기울이겠다.

 

 

 

 

 

<심선> 애니메이션 CG 예고편 동영상 보러가기

 

 

 

 

 

 

<심선> 애니메이션 CG 본편 1화 동영상 보러가기

 

 

 

 

 

 

 

최신목록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