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마작 강의 1~4편을 통틀어, 마작에서 쓰이는 각종 용어 때문에 어려워하는 분들을 위해 이번 편에서는 간단한 용어집을 정리했습니다. 강의를 읽어보며 궁금한 단어가 튀어나오면 아래 용어집을 참고해 주세요!
■ 마작 패의 용어
수패 : 1~9까지의 숫자로 이뤄진 패를 뜻합니다. |
자패 : 숫자가 아닌 글자로 이뤄진 패를 뜻합니다. |
귀족패 : 수패의 1과 9, 자패를 뜻합니다. |
중장패 : 수패의 2~8을 뜻합니다. |
역패 : 삼원패와 장풍패, 자풍패를 뜻합니다. 같은 걸 3개 모으면 점수가 납니다. |
■ 플레이어에 대한 용어
오야 : 그 판의 리더입니다. 이기면 1.5배의 점수를 얻고, 지면 2배의 점수를 냅니다. |
동가 : 동쪽에 앉은 플레이어입니다. 각 판의 동가는 오야가 됩니다. 기가라고도 부릅니다. |
남가 : 남쪽에 앉은 플레이어입니다. |
서가 : 서쪽에 앉은 플레이어입니다. |
북가 : 북쪽에 앉은 플레이어입니다. |
■ 테이블 위의 용어
산 : 매 턴마다 패를 가져오는 곳입니다. |
강 : 매 턴마다 패를 버리는 곳입니다. 각자의 앞에 버리는 것을 강에 버린다고도 합니다. |
왕패 : 산과는 별개로, 특수 목적으로 쌓아둔 14개의 패를 뜻합니다. |
도라 : 추가 점수를 주는 보너스 패입니다. 도라는 매 판 달라집니다. |
손패 : 자신이 가지고 있는 13개의 패를 뜻합니다. |
■ 패가 모인 형태의 용어
멘쯔 : 패 3개로 이뤄진 몸통을 뜻합니다. 다른 의미로는 참가 인원 4명을 말할 때에도 쓰입니다. |
타쯔 : 슌쯔가 되기 전 단계의 패 2개짜리 덩어리를 뜻합니다. |
또이 : 3만/3만 처럼 동일한 패가 2개 모인 걸 또이라고 합니다. |
캉쯔 : 3만/3만/3만/3만 처럼 동일한 패가 4개 모인 걸 캉쯔라고 합니다. |
■ 행동에 대한 용어
쯔모 : 자신의 차례에 산에서 패 하나를 가져오는 걸 뜻합니다. |
기리 : 자신의 차례에 패 하나를 버리는 걸 뜻합니다. |
퐁 : 남이 버린 패로 코쯔가 완성될 때 퐁을 외치며 가져옵니다. 아무한테서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치 : 남이 버린 패로 슌쯔가 완성될 때 치를 외치며 가져옵니다. 왼쪽 사람한테서만 가져옵니다. |
캉 : 동일한 패가 4개 모였을 때 캉을 외칠 수 있습니다. 한 게임에 4번만 가능합니다. |
■ 상태에 대한 용어
멘젠 : 퐁/치/캉으로 울지 않고, 자신의 차례에 쯔모한 패만으로 완성해가는 것을 뜻합니다. |
쿠이 : 퐁/치/캉으로 울어 남이 버린 패를 가져온 경우를 뜻합니다. |
텐파이 : 화료하기 직전 상태. 완성까지 패가 하나만 남은 상태를 텐파이라고 합니다. |
대기 : 텐파이 상태에서 어떤 패가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것을 뜻합니다. |
후리텐 : 한 번 버렸던 패는 후리텐이 되어, 완성패더라도 론으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 쯔모는 가능합니다. |
■ 끝내기에 대한 용어
화료 : 패가 완성되어 게임을 끝내는 걸 화료한다고 합니다. 오른다고도 표현합니다. |
역 : 최종 완성을 위한 족보입니다. 모양에 따른 역과 상황에 따른 역이 있습니다. |
판 : 각 역이 가진 포인트를 뜻합니다. 완성된 패 안에 '판'이 많을수록 많은 점수를 받습니다. |
부수 : 특정 조합이나 행동으로 붙는 부가 점수입니다. 1~3판의 경우 판수와 부수를 합쳐 점수를 계산합니다. |
유국 : 4명 중 아무도 화료하지 못한 상태로 산에 있는 패가 모두 떨어지면 그 판은 유국됩니다. |
■ 점수에 대한 용어
만관 : 4판~5판으로 완성. 8,000점. |
하네만 : 6판~7판으로 완성. 12,000점. |
배만 : 8판~10판으로 완성. 16,000점. |
삼배만 : 11판~12판으로 완성. 24,000점. |
역만 : 13판 이상으로 완성. 32,000점. |
더블역만 : 26판.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 64,000점. |
※ 점수 계산의 상세 내역은 마작 강의 2편을 참조. [바로가기]
■ 기타 용어
작탁 : 마작을 즐기는 테이블을 뜻합니다. |
점수봉 : 마작에서 오가는 점수는 젓가락처럼 생긴 점수봉을 이용합니다. 부루마불의 돈과 비슷합니다. |
대국 : 서로 마작으로 붙는 걸 대국이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