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가 흔들리기 시작한 건 2018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이하 MSI)부터였다. 당시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 킹존은 결승에서 중국의 RNG를 만나 3-1로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그렇게 LCK는 MSI와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중국 팀에게 참패했고 아시안게임에서도 기대 이하의 경기력으로 중국에 금메달을 내줘야 했다. 불안감과 함께 안방에서 개최된 롤드컵, LCK의 최고 성적은 8강이었다. 심지어 젠지는 1승 5패라는 역대급 성적을 기록한 채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다. 2년에 걸친 암흑기의 시작이었다.
2018년, LCK는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했다 (출처: 한국e스포츠협회)
2019년은 희망이 보이는 듯했다.
'페이커' 이상혁을 앞세운 T1은 '칸' 김동하, '마타' 조세형, '테디' 박진성 등 스타 선수들을 영입하며 정규 시즌을 제패했고, 그리핀과 담원 등 신입생 역시 저마다 기량을 폭발시키며 롤드컵 탈환에 대한 기대를 품게 했다. 하지만 결과는 다르지 않았다. LCK는 또다시 롤드컵 우승에 실패했다. 심지어 2019년 내내 LCK의 앞길을 가로막은 건 중국이 아닌, 늘 한 수 아래로 봤던 유럽의 G2였다.
LCK는 이듬해에도 끝없이 흔들렸다. LPL 상위권 팀과 맞붙은 미드 시즌 컵, LCK는 또다시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LPL은 손쓸 수 없을 만큼 빠르고 강했다. LCK는 한결같은 패턴과 속도로 LPL을 상대하고자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실수만 하지 않으면 무조건 이긴다는 마인드였던 LCK의 '뚝심'도, 해외팀이 이겨야 대회가 더 흥미진진하다던 팬들의 농담도 어느덧 사라졌다. 모두가 심각한 목소리로 LCK의 현주소를 짚기 시작했다. 빨라져야 한다고, 더 공격적이고 과감하게 변해야 한다고.
그렇게 LCK의 변화가 시작됐다. 미드 시즌 컵의 참패를 통해 많은 걸 깨달은 LCK는 e스포츠표준계약서 도입 등 제도적 변화는 물론, 경기 내적으로도 변화를 꾀했다. 안전함만을 찾았던 LCK가 사라진 대신, 상위권뿐만 아니라 하위권 팀마저도 틈만 나면 싸움을 유도했다.
오죽하면 해설자들이 너무 싸움에 몰두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표할 정도로. 상처 입은 LCK는 마침내 변화를 택했고, 이를 완벽히 수행한 담원은 보란 듯이 롤드컵 우승 트로피를 안았다.
오랜 시간 LCK를 지켜본 입장에서 올해는 그야말로 '과몰입'의 장이었다. 예년 같으면 아주 덤덤하게, 아니 어쩌면 외국팀을 더 많이 응원했을 기자마저 올해는 한국 선수들의 스킬과 킬 하나하나에 목이 터져라 LCK를 부르짖었다. 무기력하게 경기를 내준 뒤 고개를 숙인 선수들을 보며 눈시울을 붉히고 안타까움에 밤을 지새운 적도 많았다.
때문에 담원의 롤드컵 탈환은 기자가 아닌 한 명의 LCK 팬에게 너무나도 값진 순간이었다. 수년에 걸친 기다림이 끝난 순간, 모든 LCK 팬은 국제대회 우승 트로피가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았으리라. 2020년 LCK의 위상을 되찾아준 담원과 변화를 위해 무던히도 애쓴 LCK 팀들에게 한 명의 팬으로서 고맙다는 말을 꼭 전하고 싶다. 고생 많았다, LCK.
하지만 감성에 젖을 여유는 없다.
천신만고 끝에 롤드컵을 되찾아오긴 했지만, 이제 겨우 시작에 불과하다. 게다가 LCK는 내년부터 프랜차이즈 제도를 시작한다. LCK가 시작된 뒤 가장 큰 변화의 바람이 한국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를 기다리고 있다. 기자 역시 마찬가지다. 감상에 젖어있기보다, 더욱 신선하고 다양한 주제를 통해 2021년 <리그 오브 레전드>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그게 '기자의 일'이니까.
고생했다, 담원. 수고했다, LCK (출처: 라이엇 게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