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던전공략

던전앤파이터, 이건 몰랐지? 잘 알려지지 않은 정보들 : 안톤 레이드-저지편

냐람 2016-05-23 11:55:47

안톤 레이드 이건 몰랐지? - 저지 -

 

안톤 레이드가 굉장히 대중화되면서 이제는 너도 나도 공대 전사이자 검증된 리더인 상황이 되었다유저층은 무넥,무홀 시절부터 해오던 올드 유저부터 최근에 친구따라 사기 캐릭’ 이라는 것을 키워서 잘 모르고 다니는 뉴비 까지 다양하다

 

레이드 몹을 한 방에 죽이는 이런 때라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것들이 있는데, “? 버그인가?” 를 치지 않도록 이번 공략에서는 안톤 레이드에서 알아두면 좋은 꿀팁에 대하여 다루어보겠다.

 

 

① 토그

 

1. “회오리 대미지 안들어옴버그 개꿀

 

토그에게 참회’ 상태이상을 성공시키면 회오리’ 에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토그의 가장 위협적인 패턴이라고 하면 연기구슬에 이어지는 회오리라고 할 수 있다

 

이 회오리는 세인트의 40렙 스킬 참회의 망치로 유발할 수 있는 참회’ 상태이상이 걸리면 회오리’ 패턴에 대해서는 아군이 시전한 스킬처럼 취급되어 대미지를 안받을 수 있다.

 

 

  

▲ 참회’ 상태에서는 회오리에 대미지를 받지 않는다.

 

참회’ 상태이상에 걸렸다면 구석으로 도망가지 말고 가운데로 도망가서 참회’ 지속시간동안 편하게 회오리를 피할 수 있다.

 

 
▲ 넨가드’ 도 잘 버텨준다물론 레이드에서도.

 

비슷한 예시로 염제 폐월수화’ 의 넨가드를 가운데에 깔아두면 토그의 회오리에서 안전할 수 있다해치지않아요도망가지마세요.

 

 

2. “오늘 토그 왜 이리 발광이지?”

 

토그에게 계속된 홀딩을 가하면 오히려 더 많은 회오리를 소환한다.

 

의욕이 넘치는 홀딩 포지션 캐릭터들은 토그에게 무한 홀딩을 하려하는데 토그는 유저가 근접했을 때 연기구슬’ + ‘회오리’ 패턴을 많이 발생 시키고 홀딩이 지속되면 무한 홀딩 방지 패턴이 나오기 때문이다. 

 

필자가 직접 실험해본 결과 연기 구슬’ 패턴은 지속되는 홀딩을 가했을 때 1분에 4건들지 않았을 때 1분에 1의 결과를 보였다실험 횟수는 15번 정도였으며 평균을 구한 수치이다참고로 제일 많이 연기구슬’ 패턴을 보인 횟수는 1분동안 7번이다.

   

 

토그를 계속 건든 경우

토그를 가만히 뒀을 경우

1분동안 평균 4번의 연기구슬 패턴

1분에 평균 1회의 연기구슬 패턴

15번 시행의 결과로 꽤 신빙성 있는 편이다.

 

 

가능하면 딜러가 딜을 할 때만 잠깐잠깐씩 홀딩으로 패턴을 끊어주도록 하자그리고 세인트는 가급적 토그에서 멀리 떨어져있도록 하자신념의오라 안주셔도 되니까

 

 

3. “왜 토그 구슬 안먹음?”

 

토그는 홀딩 상태에서 속성 구슬을 먹지 못한다.

 

토그가 속성 구슬을 먹어야할 때에 홀딩이 걸려있다면 속성 구슬이 토그에게 들어가도 속성이 변하지 않는다속성 구슬’ 패턴에서는 홀딩을 안하는게 무조건 좋다홀딩 했는데 왜 못잡음 같은 소리는 하지 않도록 주의하자2클 안챙겨줄지도 모른다.

 

 

② 섬멸의 네르베

 

마법진 밟지도 않았는데 파란 보호막 왜 걸림??” 네르베의 에너지탄은 파란 보호막을 거는 연기를 남긴다.

 

   

▲ 보기 힘든패턴이다유일하게 구한 하르마게돈’ 님이 찍으신 사진

하르마게돈’ 필진의 안톤 공략 (링크)

 

네르베가 자주 쓰지 않는 패턴이지만 백색의 에너지탄을 앞으로 쏘는 패턴이 있다이 패턴의 주의점은 직접 타격시 피해량도 크지만 그 후 남는 연기에 닿으면 마법진 위에 있을 때 걸리는 파란 보호막이 걸린다는 점이다.

 

혹시라도 네르베가 에너지탄을 쏜다면 5초 정도는 그 방향으로 가지 않도록 하자방사선..

 

 

③ 둠 플레이너스

 

가운데 슈르르 부수지 마세요!”

 

둠 플레이너스는 1p를 따라가거나 자신을 도발한 대상을 따라가 떨어진다.

 

 

슈르르를 까는 모습슈르르 위로 떨어지는 모습

 

둠 플레이너스의 방에 들어가면 슈르르를 던지거나 잔영 남기기를 쓰는 유저들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이렇게 하면 둠 플레이너스가 도발한 오브젝트 위로 떨어져서 피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그렇지 않은 경우 1p 에게 떨어지니 1p인 사람은 주의하도록 하자.

 

가급적이면 기둥을 떨어뜨리는 패턴에서 가운데 깔린 슈르르 위로 달려서 슈르르를 부수지 않도록 하자슈르르대신 명왕이나 용독문주도 사용가능..

 

 

2. “기둥은 변두리에 떨어뜨려 주세요!”

 

둠 플레이너스의 기둥은 둠 플레이너스의 패턴에 반응하여 주위에 스턴을 준다.

 

   


 ▲ 대미지도 상당하다둠 플레이너스가 땅에 있을 때에는 스턴도 유발한다.

 


둠 플레이너스는 입장과 동시에 하늘로 날아서 기둥을 떨어뜨리는데이 기둥들은 둠 플레이너스가 내려와서 패턴을 발동 할 때 주위에 화염지대를 생성하고스턴을 발생시킨다가능하면 기둥은 딜할 때 피해가 안되는 곳에 떨어뜨리자아니면 한방에 죽여도 되고..

 

 

④ 염화의 크레이브

 

여기 기둥 왜 비어요!” “좀비로 변해서...”

 

좀비로 변한 상태에서 크레이브의 빛기둥’ 안에 들어가면 죽으면서 마법진이 채워진다.

 

 
빛기둥이 생성되면 좀비로 변한 아군도 카운트를 채울수 있다.

 

피가 달면 좀비로 변한다’ 이건 많은 유저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다하지만 빛 기둥 안에 좀비로 변한 본인이 들어가도 된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만약 체력관리를 하지 못해서 좀비로 변했다면 당황하지말고 닫지 못한 빛 기둥 안으로 들어가서 파티에게 보탬이 되도록 하자.

 

다만 당신이 딜러라면 재입장하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격전지를 가게될지도 모른다.

 

 

⑤ 수문장 크라텍

 

피구슬 관리 좀 해주세요!”

 

수문장 크라텍의 가장 가까운 사람의 머리위에 성장하는 피구슬이 생성된다.

 

   

홀딩이 되있어도 피구슬은 생성된다.

 

크라텍을 한방에 잡지 못하면 홀딩 탓을 하는 요즈음 이지만 크라텍을 잡으면서 체력이 굉장히 빨리 다는 것을 못본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이는 보통 딜을 하는 딜러 머리 위에 피 구슬이 생성되고 크라텍 바로 근처에 그 피구슬이 떨어져서인데피구슬은 떨어진 곳에 3초만 서있어도 죽을 정도의 딜을 주니 머리 위에 피구슬이 생겼다면 먼 곳에 버리고 오도록 하자.

 

가능하면 세인트’ , ‘디버퍼’ 가 슈퍼아머 포션을 먹고 크라텍에 딱 붙어서 옮기는게 가장 이상적이다세인트님 구경하시느냐고 안바쁘시다면..

 

 

⑥ 찬란한 불꽃의 아그네스

 

1. “람쥐 관리 좀 해주세요!”

 

람쥐 라고 불리는 불꽃 요정“ 은 이론상 세인트“ 혼자서도 관리할 수 있다.

 

 

   

던파 캐스트 앨시온스’ 님의 만화 中 람쥐이렇게 죽이는 것도 방법이다.

만화보러가기 (링크

 

아그네스의 분신을 처치하면 아그네스 본체와 싸울 수 있는 패턴이 시작되는데이 때 분신들은 빨간색 초록색 불꽃 요정” 으로 변한다이 불꽃 요정” 들은 약 10초정도의 캐스팅 후 각각 빨간색은 최대체력의 50퍼센트의 피해초록색은 아그네스의 방어력을 대폭 상승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 캐스팅은 10초의 시간이 걸리고 세인트” 의 스매셔’ 는 쿨타임이 5초이니 부지런히 뛰어다닌다면 혼자서도 관리할 수 있다.

 

가장 좋은 것은 여유 되는 딜러와 디버퍼 버퍼가 다 함께 보는 것이다세인트님은 버프주러 오신거니까..

 

 

2. “이기 선홀 하겠습니다.”

 

렉이 걸리는 파티라면 아그네스의 패턴을 무시하고 홀딩할 수도 있다.

 

컴퓨터가 안좋거나 인터넷이 안좋은 파티원이 파티에 존재한다면 보스방에 입장하기 전에 검신의 2차 각성기 이기어검술을 발동하고 들어가서 검은 화면이 뜨면 이기어검술을 연타하는 방법으로 아그네스의 패턴을 무시하고 홀딩이 가능하다.

 

   

성공한다면 이런 느낌이다.

 

성공했다면 입장했을 때 아그네스가 위가 아닌 맵 중간에 홀로 서있으며 패턴이 나오기 전에 이기어검술이 발동되어 들어간다.

 

의도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입장할 때 검신을 제외한 파티원 한 명이 입구에 붙어서 인터넷 선을 뽑고 그 사이 검신이 이기어검술을 꺼내서 보스방에 입장다시 인터넷 선을 꽂으면 된다네오플님 이 글은 저희집 고양이가 썼습니다. 

최신목록 1 | 2 | 3 | 4 | 5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