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 노이어페라(이하 진노페)는 7개의 진고던중 진빌마와 함께 가장 쉬운축에 속한다. 난이도와는 또 별개로 드롭하는 각종 카드나 레전더리들의 인기가 굉장하며, 그라시아 가문의 무기라는 걸출한 장비를 얻을 수 있는 퀘스트까지 준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숙지해야 될 패턴의 수가 많지만 확실하게 숙련되면 쉽게 돌 수 있는 진노페를 간단하게 공략해봤다.
상세 공략
1번방 - 흑요정 민병대장 & 민병대원
언데드화한 흑요정 민병대장과 민병대원이 등장한다. 민병대장의 공격패턴은 칼 휘두르기와 피 토하기가 있다. 피를 토하면 피 웅덩이가 생기며 이를 밟으면 중독 상태이상에 걸린다. 지속적으로 민병대원 좀비를 생성하는 패턴도 있다.
계속 몬스터를 소환하고 피 웅덩이를 흩뿌린다.
같이 나오거나 민병대장이 소환하는 민병대원 좀비는 체력이 크게 줄어들면 특정대사와 함께 몸이 붉은색으로 점멸한 후 자폭한다. 자폭 시 독구름을 남기므로 민병대원이 자폭의 전조를 보이면 거리를 벌리자.
민병대원의 자폭 공격은 암속성 피해와 함께 중독을 건다.
TIP
몬스터들이 플레이어를 포착하고 빠른속도로 접근한다. 따로 몰이를 하지 않아도 꽤 빠른속도로 뭉치기 때문에 극딜기로 일거에 처리하는 방식이 매우 효율적이다.
2번방 - 융합한 흑요정 좀비
시작하자마자 융합한 흑요정 좀비 1마리와 절규하는 흑요정 좀비&통곡하는 흑요정 좀비가 2마리씩 밀집해 있다. 융합하지 않은 좀비들은 빠른속도로 서로를 향해 이동해 융합하므로 사거리가 긴 스킬로 융합을 끊어내거나 처치하지 않으면 사실상 3마리의 융합한 흑요정 좀비와 싸우는 셈
융합한 흑요정 좀비는 고함을 질러 플레이어를 기절 상태이상에 빠트리고 두 팔을 이용한 특수 패턴을 선보인다. 일단 붉은 팔로는 날리기 공격을 가한다. 맞으면 그대로 벽쪽에 쳐박힐 정도로 멀리 보내버린다.
늘상 하는 말이지만 진고던의 상태이상은 빠르게 풀지 않으면 후속타를 맞고 골로 간다.
푸른 팔로는 땅을 찍는 낙석 공격을 한다. 땅을 찍은 후엔 플레이어의 머리 위로 돌이 떨어지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 낙석공격은 피하기 어렵지 않지만, 기절 후 확정타로 두들겨 맞으면 위험할 수 있으니 기절에 걸리면 재빠르게 풀어내는게 좋다.
다행히 땅을 찍는다고 플레이어에게 직접 타격을 주진 않으니 가볍게 낙석을 피하자.
TIP
융합한 좀비가 고함을 지르는 순간에는 무적 상태에 돌입한다. 융합 혹은 조우 시 첫 패턴은 무조건 고함을 지르는 것으로 고정되므로, 입장하면 스턴을 풀고 낙석을 피하는데 집중하자. 그 뒤에 몰아치기를 해도 늦지 않다.
3번방 - 그림시커 사제
그림시커 사제 니그룸넥스, 칸디눔렉스가 좌우에 등장한다. 기본 공격패턴은 보이드 사출으로 엘레멘탈 마스터와는 다르게 Y축으로 변칙이동을 하는 보이드를 발사한다. 맵이 매우 좁아 피하기가 까다로운 패턴이라 할 수 있다.
양 옆에서 나오는 보이드도 성가신데 피격시 무적+순간이동까지 시전한다.
그림시커 사제들의 보이드에 피격되면 카운터가 차오르는데 카운터가 차면 강력한 돌기둥 공격을 가한다. 바닥에서 돌기둥이 나오는 지점이 보이지만 매우 빠른속도로 플레이어의 위치를 추적하며 공격하니 돌기둥 패턴이 나오기전에 처치하는게 좋다.
그림시커 사제는 피격시 무적과 함께 순간이동을 시전하는데 쿨타임이 따로 존재하지 않아 일격기나 다단히트기가 제대로 된 피해를 주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행동불능형 상태이상을 걸어 발을 묶은뒤 공격하는게 베스트 케이스다.

4번방 - 그림시커 사제 & 불멸의 위장자
그림시커 사제 누빌루스와 불멸의 위장자 다수가 등장한다. 미라와 같이 생긴 불멸의 위장자들은 번개공격을 하는데 이 번개는 지상을 따라 플레이어를 추적하는 성질이 있다. 이 번개는 적지 않은 대미지와 함께 매우 짧은 다단히트 간격으로 플레이어를 괴롭힌다. 여러개가 겹치면 거의 행동불능에 가까운 경직을 주는 골치아픈 패턴이다.
번개는 점프를 하는 도중에 피해를 입히지 않고 벽에 닿으면 사라지므로 다수의 번개에 추적당하는 상황이라면 벽쪽으로 유도하여 점프를 반복하면 그나마 피해를 덜 입고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번개가 사라지면 불멸의 위장자가 다음 번개를 시전하기 전에 빠르게 처치하는게 좋다.
공중에 뜬 상태에서는 번개에 피해를 입지 않는다.
문제는 그림시커 사제 누빌루스다. 누빌루스는 별다른 공격패턴은 없지만, 불멸의 위장자들에게 에너지를 주입해 부활시킨다. 또한 화면이 붉은색이 되며 누빌루스가 무적상태에 돌입하는 패턴도 있다. 이전 방의 사제들처럼 행동불가 상태이상을 걸고 단숨에 잡아내는 수밖에 없다.
죽여도 죽여도 부활하면 소용이 없다. 그림시커 사제를 처치해야 한다.
TIP
파티플레이 중이라면 번개는 우선적으로 공격하거나 인식한 플레이어를 추적한다. 어그로가 끌린 플레이어가 번개를 잘 유도하면 조금 더 쉽게 공략할 수 있다.
5번방 - 소규모 차원의 틈 & 광란의 위장자
소규모 차원의 틈과 광란의 위장자가 등장한다. 광란의 위장자는 기본적으로 팔을 휘두르는 패턴이 있지만, 이동속도와 공격속도가 느려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소규모 차원의 틈은 맵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순간이동을 하며 디레지에의 사념을 소환하는데 이 사념은 근접하면 중독을 유발하는 폭발을 일으킨다. 맵에 다수의 사념이 있을땐 광란의 위장자가 검은 원형의 오오라를 내뿜오며 사념들을 자폭시키도 한다.
광란의 위장자와 사념의 공격은 강력하기보다는 성가신 축에 속한다.
소규모 차원의 틈을 제거하면 더 이상 사념이 나오지 않고 광란의 위장자가 함께 처치된다. 따라서 5번방에서는 입장하자마자 소규모 차원의 틈을 향해 화력집중을 해주면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다.
차원의 틈이 자꾸 순간이동을 해서 귀찮긴 하지만, 처치만 하면 프리패스다.
6번방 - 융합한 흑요정 좀비
2번방과 마찬가지로 융합한 흑요정 좀비와 융합하지 않은 흑요정 좀비들이 등장한다. 공략 방법도 2번방과 똑같다.

보스 - 진 : 디레지에의 환영

가끔씩 벽을 향해 돌진하는 경우도 있다. 좋은 찬스다.
체력이 일정 수준 감소할때마다 분신 및 버로우 패턴을 시전한다. 분신은 버로우를 제외한 보스의 모든 패턴을 동일하게 사용하며 울부짖는 듯한 모션을 취하며 보스의 체력을 회복시키기도 한다.
버로우는 화면이 어두워지며 보스가 땅으로 숨는데 포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며 플레이어의 발 밑으로 가시를 생성하는 공격이 이어진다. 맵이 매우 좁아 피하기가 어려운 패턴이니 맵이 어두워지면 도망칠 생각부터 하는게 좋다. 간혹 여러번에 걸쳐 버로우를 연속시전을 하는 경우도 있으니 지상으로 나왔다고 방심하진 말자.
보스의 체력을 한꺼번에 많이 깎아내리면 분신과 버로우가 동시 발동된다.
보스의 가장 강력한 패턴은 물어뜯기와 잡아먹기다. 화면에 암전이 걸리며 엄청난 속도로 플레이어를 당기는데 코 앞까지 오면 크게 입을 벌려 물어뜯는 패턴을 쓴다. 공격력이 매우 강하니 상태이상이나 잡기 등으로 끊어내야 한다.
잡아먹기 패턴은 그 자체로는 잡아먹고 뱉어버리는 평범한 기술이고 위력이 높지 않지만 플레이어가 다운된 상태에서도 냅다 삼켜버려 무한루프를 만드는게 문제다. 만약에 구석에 몰린 상태에서 보스와 분신이 계속 잡아먹고 뱉고를 반복하다보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흡입력도 상당하고 대미지도 높다. 후속타인 잡아먹기는 생각보다 범위도 넓다.
잡아먹힌 상태에서는 보스나 분신이 시전하는 모든 공격에 피격될 수 있다. 가급적 보스나 분신의 수가 많은 상태에서는 반드시 피해야만 하는 패턴이다.
TIP
버로우 공격은 총 4번 가시를 사출하며 플레이어를 추적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분신이 많더라도 좌측 하단이나 우측 상단 구석진 자리로 보스를 유도하여 1:1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분신은 버로우 패턴을 사용하지 않아 플레이어에게 빠르게 다가올 수 없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