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회원가입
|
ID/PW 찾기
아이디 저장하기
뉴스센터
헤드라인
주요뉴스
일반
논란/사고
외신
국내소식
인디
산업
정책
채용
사회공헌
e스포츠
서브컬처
코스프레
리뷰/출시
프리뷰/리뷰 ▶
패키지형
라이브서비스형
출시/할인 ▶
출시
할인정보
사전등록
업데이트
이벤트
기획/특집
분석기사
스토리텔링
흥미기획
게임인
칼럼
기자수첩
카드뉴스
연재/카툰
연재
카툰
스페셜칼럼
오늘의게임
화제의영상
전체
트레일러
플레이영상
CF
슈퍼플레이
기타
자료실
전체
보고서
발표자료
통계자료
기타
게임쇼/강연
G-STAR
G-STAR B2B
GDC
NDC
차이나조이
게임스컴
TGS
E3
블리즈컨
BIC
아웃오브인덱스
PlayX4
기타 게임쇼
커뮤니티
게이머발언대
유저리뷰
시사게시판
자유게시판
갤러리
전체
유머
얼짱/몸짱/스타
기타
게임별 아지트
TIG 메인
모바일게임 아지트
퍼즐앤드래곤
전체
칼럼
기자수첩
제목
작성자
고급검색
닫기
기간:
부터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까지
조건:
제목
작성자
분류:
[전체]
칼럼
기자수첩
[칼럼] '문화강국'을 말하면서 왜 K-게임은 빠졌나
2025.04.18
|
정우철
(
음마교주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가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한 문화정책 비전, 이른바 '문화강국 청사진'은 야심차다. K-푸드, K-뷰티, K-팝, K-드라마, K-웹툰을 '글로벌 소프트파워 BIG 5'로 정의하고, 이들의 세계 시장 진출을 ..
[기자수첩] "우리는 GTA 6가 너무, 너무나도 무섭다"
[장르 대표작과 출시 일정에 대한 단상]
2025.04.17
|
김승준
(
음주도치
)
2025년 가을. 락스타 게임즈가 예고한
의 출시 예정 시기이자, 많은 게임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울 준비를 하는 때이기도 하다. 확실히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게임이라면, 장르 불문 모두가 긴장할 수밖에 없다. 문제가 있다면 정확한 출시일이 아..
1인 개발자의 시대
[혼자서 기획부터 제작까지 '뚝딱'… 인공지능 '부스터'까지 도입되면?]
2025.04.16
|
김재석
(
우티
)
바야흐로 1인 개발자의 시대가 도래했다. 로컬썽크(LocalThunk)는 <발라트로> 하나로 작년 더 게임 어워드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 <발라트로>는 GDC 어워드에서도 올해의 게임에 오르며 흥행력과 영향력을 두루 입증했다. 이 모든 공이 1인 개발자..
[칼럼] 인조이, 심즈(2000), 로즈버드
['쇼룸'이 된 라이프 시뮬레이션에 대한 단상]
2025.03.31
|
김재석
(
우티
)
수구초심이라 그랬던가. <인조이>를 플레이하다 보니 문득 <심즈>(2000, 이 글에서 <심즈>는 모두 1편을 의미)가 하고 싶어졌다. 왜 그랬을까? 그래픽이라면 비교할 것도 없이 <인조이>가 탁월하다. 언리얼 엔진 5로 창조된 인조이의 현실적이고 ..
[TIG 20] 여성 오타쿠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기고) 쿠키플레이스 남선우 대표: 수도 없이 많은 ‘우리’에 대하여]
2025.03.18
|
디스이즈게임
(
디스이즈게임
)
게임 업계의 삼라만상에 대해서 '이래야 하느니라'며 숟가락 얹기를 즐기는 본지이지만, 하나 모자란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여성향 서브컬쳐입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현남일(깨쓰통) 기자가 서브컬처 전문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지만, 지금 ..
[TIG 20] 게임 기자는 무슨 일을 하는가
[궁금할 사람은 적겠지만...]
2025.03.14
|
방승언
(
톤톤
)
약 3주 전, 창간 20주년 특집기사 아이디어를 발제하는 자리. 이직을 기념(?)하여 ‘게임 기자란 뭘 하는 사람인가’를 주제로 마지막 기자수첩을 하나 쓰겠노라 얘길 꺼냈다. 반 이상 농담이었던 발제는 그러나 어째서인지 발탁되었고, 기자는 입..
[칼럼] 게임과 게이머가 만만한 샌드백입니까?
[저주인형 기사에 갑자기 등장한 게임 비난 그리고 불쾌한 패러디]
2025.03.12
|
김승준
(
음주도치
)
게임과 게이머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먼 것 같다. 레거시 미디어가 게임을 일종의 죄악처럼 취급해온 것엔 이미 지겨울 정도로 긴 역사가 있지만, 기자는 최근 한 기사를 보고 헛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게임과 전혀 상..
[기자수첩] 랜드마크 건설에 집착하는 문체부
[무조건 짓는다고 능사가 아니다]
2025.03.11
|
김재석
(
우티
)
'랜드마크 건설'이라는 글자를 읽었을 때 특정 음성이 귀에 들리는 듯하다면 여러분은 <모두의마블>을 해본 적 있는 사람일 것입니다. 최근 넷마블은 서울 구로구 G타워에 '넷마블게임박물관'을 개관했습니다. 넷마블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게임..
[칼럼] 생성형 AI의 시대, 누구와 놀 것인가?
[스플릿 픽션, 모노폴리, 그리고 MMORPG]
2025.03.10
|
김재석
(
우티
)
누구와 놀 것인가? 이는 게이머에게 늘 중요한 과제였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 했던가? 게이머에게는 같이 놀 존재가 필요하다. 디지털 게임의 시대, 플레이어의 박수 소리를 위해서 NPC는 필수적인 존재가 됐다. 우리가 봇(Bot)이나 NPC라고 ..
넥슨 vs. 아이언메이스 '다크앤다커' 1심, 왜 넥슨이 이긴 것인가?
[이철우 게임 전문 변호사의 판결문 분석]
2025.02.20
|
이철우
(
이철우
)
<다크앤다커>를 둘러싼 넥슨과 아이언메이스의 소송 1심 결과가 나왔다. <다크앤다커>는 스팀에서 10만 명의 동시접속자를 모으며 인기를 끌었고, 개발사 아이언메이스는 홈페이지에 "게임사들이 쉬운 돈을 위해 영혼을 파는지 목격했다"며 "착취..
[기자수첩] 게임, 진심은 통한다
[Audentes Fortuna Iuvat!]
2025.02.18
|
김재석
(
우티
)
열흘 뒤면 봉준호의 신작 <미키 17>이 개봉한다. <기생충>으로 영화사를 새로 쓴 봉준호의 컴백이다. 문득 다큐멘터리 <봉준호를 찾아서>가 떠오른다. 2015년, 세 명의 고등학생은 영화감독이 되기 위한 조언을 듣기 위해 무작정 봉준호를 만나기..
[칼럼] 절망의 세계에서도 노래가 있다면
[젠레스 존 제로 '아스트라'와 라제폰, 마크로스, 더블오]
2025.02.06
|
김승준
(
음주도치
)
역시 진짜 오타쿠가 만든 게임은 오타쿠의 심장 깊숙한 곳을 정확히 저격한다. 기자는 <젠레스 존 제로>를 너무 좋아하지만, '아스트라'라는 캐릭터가 처음 예고됐을 때까지만 해도 사실 심장이 저릿하다는 느낌을 받진 않았다. '노래로 싸운다'..
음모론이 재미있는 이유, 무서운 이유
[1]
['브레인 롯'에 빠진 어느 지도자의 모습을 보며]
2024.12.12
|
김재석
(
우티
)
# 음모론이 재미있는 이유 음모론은 왜 재미있는 걸까?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슈팅게임 프랜차이즈 '콜 오브 듀티', 그중에서도 음모론을 소재로 한 <블랙 옵스: 콜드 워>(2020, 이하 콜드 워)의 개발진은 "진실인 것 같으면서도 진짜가 아..
[기자수첩] 1년에 단 하나의 게임을 사야 한다면
[벌어진 격차, 따라잡을 용기, 도전과 기다림]
2024.12.10
|
김승준
(
음주도치
)
"1년에 게임을 딱 하나만 사야 한다면 뭘 사야 할까?" 마침 더 게임 어워드 GOTY 발표가 코앞인 시기이기도 하지만, 해당 문장은 10년지기 절친 P가 지난 10월 기자에게 물었던 질문이다. <갓 오브 워>, <스파이더맨>, <아캄> 시리즈를 지독히도 ..
프롬프트로 3D 세계를 생성? 게임 개발의 미래가 바뀔지도 모른다
[구글 딥마인드 '지니 2'의 대규모 세계 모델 생성을 바라보며]
2024.12.06
|
김승준
(
음주도치
)
한계를 넘어선 기술을 목도하면, 놀라움이나 기대감도 느끼게 되지만, 마음 한편에 두려움이 피어나기도 한다. 오픈 AI가 'SORA'로 비디오 생성 기술의 기준치를 높이고 난 뒤, 우후죽순 비디오 생성 AI가 쏟아진 것처럼, 게임 제작 AI도 이제 그..
'트로피코'와 윤석열: 계엄령, 절대로 고르면 안 되는 선택지
[3]
[트로피코가 아니라 현실에서 계엄을 해버리다니...]
2024.12.04
|
김재석
(
우티
)
'트로피코'는 카리브해의 플랜테이션 국가를 경영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시리즈다. 독재자의 여러 통치 행위를 풍자적으로 묘사하는 블랙코미디 요소로 꽤 인기를 끌었다. 지난 2019년에 6편까지 출시된 장수 프랜차이즈다. 게임을 플레이하다 보면..
[기자수첩] 스팀에 희망이 있다는 거짓말
[스팀에서의 경쟁은 골드러시가 아니라 의자 뺏기 게임이다]
2024.12.03
|
김재석
(
우티
)
요즘 게임을 업으로 삼는 이들을 만나다 보면 '모바일 엑소더스' 이야기가 나온다. 하이퍼 캐주얼 게임으로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경쟁하던 회사들이 점차 스팀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광고 차단 옵션은 치명타였고, 인앱결제 규모..
[기자수첩] 유니콘 오버로드, 운빨존많겜, 마블 스냅이 만만합니까?
[이건 3개의 게임과 '창세기전' 팬들에 대한 예의가 아닙니다]
2024.11.25
|
김승준
(
음주도치
)
최근 <창세기전> 팬들의 가슴에 또 한 번 못이 박힌 사건이 있었다. <창세기전> IP로 2종의 게임을 만들고 있는, 뉴노멀소프트가 2025년 초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인 <창세기전 3 리버스>(rebirth)의 모습을 일부 공개한 직후 큰 파장이 일었기 때..
계속되는 '게임 행사' 테러 예고, 이제는 장난이 아니다
[3]
[장난 아닌 범죄행위, 대책 논의해야 할 때]
2024.11.25
|
김승주
(
사랑해요4
)
이대로 가면 위험하다. 지난 23일, 킨텍스에서 진행된 <던전앤파이터> 행사 '2024 던페 페스티벌 1부'가 인터넷 커뮤니티의 '협박성 글'로 인해 일시 중단되고 관람객이 모두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행사장에서 대피한 관람객들은 추위 속에서..
[기자수첩] 결국 누구를 위한 대한민국 게임대상이었나
[기초적인 '존중'조차 실종된 '최고 권위'의 게임대상]
2024.11.14
|
현남일
(
깨쓰통
)
우리나라에는 게임과 게임사들에게 주어지는 수많은 '상'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권위'를 가진 상이라고 하면 역시나 매년 11월, 지스타에 앞서 진행하는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꼽을 수 있다. 실제로도 수많은 게임사들이 이 ..
[기자수첩] 사전예약에 대한 단상
[100만 명이나 게임에 관심이 있다는데, 정작 게임이 출시되면...]
2024.10.30
|
김재석
(
우티
)
게임업계를 떠난 옛 취재원과 점심을 먹었다. 그는 국문과를 졸업했는데 오늘 대뜸 술에 덜 깬 말투로 기자에게 이렇게 따졌다. "니들은 사전예약이 뭐냐?". 무슨 투정인가 들어봤더니 게임업계에서 즐겨 쓰는 '사전예약' 자체가 동의첩어로 틀린..
[칼럼] 착취적 게임, 포기하는 게이머
2024.10.28
|
김재석
(
우티
)
기자의 오랜 친구는 <스타크래프트> 유즈맵에 빠져있다. 노파심에 설명하자면 유즈맵(Use map settings)이란 유저가 전장을 만들고 그 모드(Mode)를 플레이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과거 <워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등 RTS의 유즈맵이 큰 인기를..
[게임과 책] "게임 모르는 상사는 도태된다"… MZ 직원들의 비밀
['게임, 게이머, 플레이' 게임을 보면 MZ의 세계관이 보인다]
2024.10.22
|
박한슬
(
박한슬
)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이라는 개념이 한동안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생소한 분들도 계실 테니, 간략히 설명하자면 이렇다. 우리가 일상에서 의무적으로 수행해야만 하는 과업들은 재미가 없다. 그러니 갖은 방법을 동원해도 자발적으로 참여..
[기자수첩] 넥슨 아이콘 매치가 남긴 것
["넥슨이 축협보다 낫네"]
2024.10.21
|
김재석
(
우티
)
운 좋게 지난 주말 넥슨이 주최한 이벤트 축구 경기 '아이콘 매치'에 다녀왔다. 이틀간 서울 월드컵경기장에는 약 10만 명의 인파가 운집했다. 전야제 4만에 본경기 6만이었다. 본경기가 펼쳐진 20일 날씨는 15도 이하로 겨울을 실감케 했지만, ..
[방구석게임] 몇 년을 플레이해도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상황에 대해
2024.10.16
|
유형권
(
유형권
)
플레이어간 승부를 겨루는 게임에서의 승패는 어떻게 결정될까? 사실 이 승부는 누가 더 완벽하게 플레이 했는지의 여부보다, 실수를 하지 않았는가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이론상으로는 문제 없을거라 생각한 모든 플레이가 단 하나의 실수만..
최신목록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칼럼
많이 본 기사
1
[기자수첩] "우리는 GTA 6가 너무, 너무나도 무섭다"
2
1인 개발자의 시대
3
[칼럼] 인조이, 심즈(2000), 로즈버드
4
[칼럼] '문화강국'을 말하면서 왜 K-게임은 빠졌나
주간 많이 본 기사
1
[기자수첩] "우리는 GTA 6가 너무, 너무나도 무..
2
"당신의 인생에 실망하기" 스팀에서 '얼마 썼는..
3
게임주 대장이던 엔씨소프트, 모건스탠리 MSCI..
4
무너진 밸런스에 뿔난 철권 8 유저, 모드로 게..
5
메이플스토리 글로벌 서비스, 공식 '클래식 메..
6
1인 개발자의 시대
7
공정위, '그랜드체이스 클래식'의 거짓 확률 표..
8
2024년, 저평가받은 FPS 중 하나가 업데이트를..
9
[리뷰] "메타 머스트 플레이" 게임사에 남을 작..
10
PS Plus도 올리더니... PS5 "가격 인상, 미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