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회원가입 | ID/PW 찾기

취재

“외산 게임을 견제하려고 라이엇게임즈를 소환했다”

백재현 의원 보좌관, “규제를 위해 국정감사에 부른 게 아니다”

김진수(달식) 2013-11-07 20:28:15
6일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오진호 대표를 소환한 것에 대해 백재현 의원실이 입장을 밝혔다.

7일 백재현 의원실 조윤재 보좌관은 디스이즈게임과의 통화에서 “인터넷 등을 통해 돌고 있는 소문은 오해다. 게임을 규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외산 게임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오진호 대표를 국정감사에 소환한 것이다”는 속내를 드러냈다.


백재현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제시한 자료 이미지들.


“해당 이미지가 팬아트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백 의원은 지난 6일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오진호 대표를 소환해 게임 캐릭터를 이용한 팬아트를 자료로 제시하며 선정성 문제를 제기했다. 이를 두고 인터넷 등에서는 거센 반발이 일었다. (관련기사: LOL 국정감사 반응 “팬픽과 게임 이미지도 구별 못하나?”)

실제로 게임 유저들이나 팬아트 작가들이 백 의원의 홈페이지에 의견을 올리는가 하면, 의원실에 직접 전화를 걸어 항의하기도 했다.

조 보좌관은 논란이 되고 있는 <리그 오브 레전드> 2차 창작물 음란성 지적에 대해 “게임에 들어가지 않는 2차 창작물인 팬아트라는 것은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리그 오브 레전드> 홈페이지의 청소년 보호조치를 논하고자 했던 것이다. 팬아트 게시판에는 12세 이하의 청소년이 보기에 부적절한 그림들이 올라오고 있는데, 로그인 등의 조치 없이 볼 수 있는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라이엇게임즈에서도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라 적극적으로 조치하겠다는 답변을 얻었다”고 덧붙였다.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의 팬아트 게시판은 접근이 제한돼 있다.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 공식 홈페이지의 팬아트 게시판은 접근이 막혀 있다.

논란이 되었던 5명이 게임을 하는 구조가 과몰입을 유도한다는 백 의원의 발언에 대해서는 “5:5로 게임을 하는 구조를 지적한 것이 아니다. 청소년들이 한 경기가 끝난 뒤에도 ‘한 판만 더 하자’는 친구들의 요청을 뿌리치지 못해 학원에 결석하는 등의 문제에 대한 보호조치를 하라는 것이었다. 실제로 PC방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를 하는 200여 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파악한 문제점이다”고 해명했다.

그는 “청소년들은 주위의 요청을 쉽게 거절하지 못한다. 그래서 셧다운제 외에 15세 미만 청소년을 위한 대책을 강구하라고 라이엇게임즈에 전달했고, 본사의 승인을 받으면 청소년 보호조치를 하겠다는 답변을 얻었다”고 덧붙였다.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나선 민주당 백재현 의원(왼쪽)과 증인으로 출석한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오진호 대표(오른쪽).


“진짜 이유는 외산 게임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것이다”


6일 여성가족위원회 국정감사를 지켜본 게임 유저들의 반응 중에는 “민주당 원내대표가 한국e스포츠협회 회장으로 게임을 지지하는데, 같은 당에서 무슨 짓이냐” 같은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신의진 의원이 발의한 중독법 때문에 게임업계와 유저 모두 신경이 곤두선 상황에서 진행된 국정감사였기에 더욱 민감한 반응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조 보좌관은 “오진호 대표를 국정감사에 소환한 진짜 이유는 외산 게임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함이다. 외국 업체들에게 국내업체가 부담하는 사회적 의무를 지게 만들어 국내 게임업체의 성장을 돕기 위한 의도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PC방 점유율이 40%를 넘어서는 것을 보고 국정감사 증인으로 소환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절대 게임산업 전체를 견제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국정감사 자리에서 ‘게임 중독’이라는 말 대신 ‘게임 과몰입’이라는 표현을 썼다. 백 의원도 전병헌 원내대표처럼 중독법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래서 게임 산업의 대표를 소환한 게 아니라 라이엇게임즈 대표를 소환해 <리그 오브 레전드>의 문제만 지적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조 보좌관은 마지막으로 “국내 게임업체들이 꼭 쿨링오프제가 아니더라도 자발적인 조치를 했다면 중독법 발의 단계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다. 앞으로 국내 게임업체도 자율적인 조치를 취하고 나서 목소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드러냈다.